여행지 : 아르메니아 – 게하르트 수도원(Geghard Monastery)
여행일 : ‘23. 5. 31(수) - 6. 12(월)
세부 일정 : (아제르바이잔)바쿠→고부스탄→쉐키→(조지아)카헤티→시그나기→트빌리시→(아르메니아)알라베르디→세반→예레반→코르비랍→에치미아진→(조지아)트빌리시→아나우리→구다우리→카즈베기→므츠헤타→바투미→(튀르키에)리제
특징 : ① 코카서스(Caucasus) :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에 있는 지역으로 현지어로는 ‘캅카스(Kavkaz)’라 부른다.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의 산악지역으로 아름다운 자연과 오랜 역사·문화를 자랑하는 아제르바이잔·조지아(그루지아)·아르메니아가 있다. 뻔한 코스와 일정, 전 세계에서 몰려온 관광객으로 연일 북적거리는 기존 관광명소에서는 느낄 수 없는 새로운 여행의 감동을 줄 수 있는 지역이다.
② 아르메니아(Armenia) : 인구 324만 명의 우리나라 경상남북도 크기 나라지만 고대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다. 하지만 아시아와 유럽 사이에 위치한 지정학적 여건 때문에 로마·몽골·오스만 등 끊임없이 강대국의 지배를 받아왔다. 구소련의 해체로 1991년 독립을 달성했으나 이웃 아제르바이잔과의 영토 갈등으로 전쟁(1994)을 치렀고, 현재는 불완전한 휴전 상태이다.
③ 게하르트 수도원(Geghard Monastery) : 아르메니아에서 가장 위대한 정신적·문화적 유산으로 꼽힌다. 4세기경 아르메니아를 세계 최초의 기독교 국가로 개종시킨 성 그레고리우스(St, Gregorius)가 기도하러 왔다가 바위틈에서 물이 솟아나는 것을 보고 동굴을 파서 수도원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 후 절벽을 깎아 만든 교회, 동굴 안에 만든 교회, 벽을 쌓아 만든 교회, 절벽 안 깊은 곳에 만든 교회 등 다양한 형태의 교회가 지어졌다. 2000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차에서 내리니 신선이 산다 해도 믿을 만큼 수려한 골짜기가 나타난다. 그 골짜기 깊숙한 곳에 ‘게하르트 수도원’이 있다. 덕분에 우린 한참을 걸은 뒤에야 수도원을 만날 수 있었다.
▼ 아르메니아 여행은 알라베르디(아흐파트 수도원)에서 시작해, 세반호수(세반 수도원), 코르비랍(수도원 및 아라랏 산 조망), 예레반(에치미아진 대성당), 아자트 계곡(게하르트 수도원), 가르니 계곡(가르니 신전 및 주상절리) 등을 둘러보는 일정이다.
▼ 수도인 예레반에서 35km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당일치기 투어가 가능하다. 7km 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가르니 신전’과 ‘주상절리’도 함께 둘러볼 수 있다.
▼ 골짜기로 들어가다 보면 수도원에 이르기도 전부터 엄숙한 분위기가 느껴진다. 깊은 산속, 높은 바위산에 둘러싸인 풍경 때문이지 싶다. 그런 느낌은 잠시 후 동굴교회에서 정점을 찍는다. 바위굴을 깎아 교회를 만든 초기 기독교인들의 신앙심과 절벽에 석굴을 깎아 절을 만든 불교도들의 신앙심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 깎아지른 듯한 저 바위절벽은 수도승들의 기도처였다고 한다. 사다리나 밧줄로만 닿을 수 있는 수많은 동굴에서 거주하며 금욕적인 생활을 했단다.
▼ 수도원으로 들어가는 입구에는 기념품 말고도 토피 사탕처럼 달고 쫀득한 건살구를 파는 노점상들이 있었다. 동그란 모양에 장식이 된 달콤한 빵 ‘가타(Gata)’가 쌓여 있고, 길게 엮은 호두를 젤리가 될 때까지 포도 시럽에 담가 초의 심지처럼 땋은 긴 줄 모양의 ‘수죽(Sujukh)’도 여러 뭉치 놓여있다. ‘아르메니아식 스니커스(snickers, 초콜릿 바)’라고나 할까? 아무튼 이런 것들이 아르메니아 여행의 전형적인 길거리 간식이 되어준다.
▼ 이곳도 ‘하츠카르(Khachkar)’가 먼저 길손을 맞아준다. 수도원 입구 외벽을 따라 수많은 하츠카르를 세웠다. 이렇듯 아르메니아에서는 하츠카르를 여기저기서 만날 수 있다. 어딜 가나 있다. 교차로에도 서 있고, 도시의 공원을 수놓기도 한다. 어떤 것들은 무덤에 세워지기 때문에 교회 주변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하츠카르는 마을의 이정표나 기념비가 될 수도 있고, 사람들의 기도를 실질적으로 가시화시켜 놓은 징표가 될 수도 있다.
▼ 수도원의 아치형 정문. 이곳도 역시 성곽을 연상시킨다. 수도원을 둘러싼 높은 축대는 성벽의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유일한 통로에는 두텁고 높게 성벽을 쌓고 작게 문을 냈다. 외세의 침략에 시달려 온 나라들의 전형적인 건축 스타일이라 하겠다.
▼ 입구에 건물 배치도가 들어간 안내판이 세워져 있었다. 1. 카토히케 교회(Katoghikeh church). 2. ‘카토히케 교회’의 가비트(Gavit). 3. 아바잔 동굴교회(Avazan cave church) 4. 프로시안 묘지교회(Proshian chapel-sepulcher) 5. 성모교회(St. Astvatsatsin‘Proshian’ church), 6. 상부 가비트. 파팍과 루주칸의 묘역(Papak & Ruzukan Gavit-sepulcher). 7. 루사보리치 동굴교회(Lusavorich cave church). 8. 구내시설(Service premises). 9. 주교관(Residence). 10. 사제관(Parsonage). 11. 식당(Refectory). 12. 성모 동굴교회(St. Astvatsatsin cave church)
▼ 투어를 시작하기 전, 행운이 있는지부터 시험해보자. 입구 바위벽에 동전이나 돌멩이를 던져 바위 구멍이나 경사진 턱에 안착하면 행운이 온다니 말이다.
▼ 수도원 전경. 뒤쪽 커다랗게 돔을 올린 건물이 ‘카토히케 교회(Katoghikeh church)’이고, 앞부분의 펑퍼짐한 건물은 카토히케 교회의 ‘가비트(Gavit, 전실)’다. 참고로 게하르트 수도원의 역사는 4세기 초 ‘성 그레고르’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 수도원은 교회와 수도원, 순례자를 위한 시설 등을 갖추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8세기부터 이슬람의 탄압을 받았고, 923년에는 아르메니아 지역 통치자인 ‘알 나스르(Al Nasr)’에 의해 대대적으로 파괴됐다. 건물은 물론이고 성경과 필사본 등 중요한 서적까지 불태워졌단다. 그러다 타마르 여왕 때 재건이 시작됐고, 1215년 중심 건물인 카토히케 교회가 완성되었다. 13세기 후반에는 이 지역 영주였던 ‘프로시(Prosh Khaghbakian)’의 경제적 도움으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한다. 당시 7개의 교회 건물에 40개의 제단이 있었단다.
▼ 반대방향에서 본 수도원. 수도원은 네다섯 개의 교회와 그 앞의 넓은 홀(narthex)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중 대부분은 동굴교회인데, 거대한 바위를 파내고 안을 세심하게 조각해 만들었다. 사람의 힘으로 들 수 없는 무거운 돌덩이를 쌓고 깎은 것으로도 모자라 암벽을 파내기까지, 신심이 이끌지 않으면 할 수 없는 일이 아니었을까 싶다.
▼ 이해를 돕기 위해 ‘나무위키’에서 얻어온 사진을 올려본다.
▼ 수도원이니 그 중심이 교회 건물들일 것은 당연, 그밖에도 학교, 필사실, 도서관, 그리고 성직자들의 주거시설들이 교회를 빙 둘러싸고 있다.
▼ ‘카토히케 가비트(Katoghike church Gavit)’ 입구. 문안의 전실(Gavit)은 본당 말고도 북쪽(왼쪽)으로 아바잔교회, 프로시안 예배묘당, 성모교회와 연결된다.
▼ ‘가비트(Gavit, 전실)’란 서양 교회의 나르텍스(Narthex)와 비슷한 개념으로, 교회 정면 입구와 본당 사이에 꾸며 놓은 공간을 말한다. 즉 주교좌 교회인 ‘카토히케’로 들어가기 전 만나는 공간으로 신자들의 기도공간이자 성직자의 설교공간으로 사용된다.
▼ 아르메니아인들은 성당에 들어오자마자 (교회에서)구입한 초를 꽂고 기도를 드린다. 초를 꽂아야만 기도가 응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 문 하나를 더 지나면 본당인 ‘카토히케 교회(Katoghike church)’다. 투르크로부터 아르메니아의 대부분을 되찾은 타마르 여왕의 장군인 자카레(Zakare)와 이반(Ivane) 형제의 후원으로 1215년 세워졌다. 고전 아르메니아 양식의 십자가 형태 건물로, 건물 중앙에 거대한 기둥 4개가 중심을 이루고, 그 위에 톨로베이트(Tholobate: 돔이 세워진 건물의 직립 부분)와 돔을 얹었다. 돔형 천정에 구멍이 있어 빛이 은은하게 들어오지만 전체적으로 어두운 편이다.
▼ 반원형 제대 벽면에는 천사들의 축복을 받는 성모자상이 모셔져 있다. 성모자 양쪽에서 ‘세례 요한’과 ‘성 그레고르’가 성모자를 축복해준다. 이들의 양쪽 벽면 아래에는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상과 승천하는 예수상이 그려져 있다.
▼ 전실에서 북측 왼쪽으로 난 문으로 들어가면 ‘아바잔 동굴교회(Avazan cave church)’를 만난다. 바위에 동굴을 파서 만든 예배당인데, 정교하게 조각된 제대와 하치카르가 눈길을 끈다. 하지만 사람들의 관심은 온통 샘에 쏠리고 있었다. 성 게오르그가 발견하고 수도원을 짓기로 결심했다는 그 전설의 샘이 아닐까 싶다. 암벽에서 물이 졸졸 흘러나오는데, 이 물이 웅덩이에 모였다가 예배당 바닥을 수로삼아 밖으로 흘러나간다. 하나 더. 이곳 어딘가에 건축가 갈작(Galdzak)이 40년 동안 이 동굴수도원을 지었다는 명문이 적혀있다는데 확인해보지는 못했다.
▼ 내부는 무척 어두웠다. 동굴 속이라서 빛이 들어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선지 천장을 뚫어 예르디크(Yerdik)라고 부르는 구멍을 만들었다. 이 구멍이 환기와 더불어 내부를 밝히는 역할까지 한다. 참고로 아르메니아의 수도원은 묵직하고 엄숙한 분위기로 사람을 숙연하게 만든다. 어두운 내부를 비추는 것은 신과 만나기 위해 뚫어놓은 천장 구멍과 창으로 들어오는 빛, 그리고 촛불뿐. 화려하게 장식된 유럽 대도시 성당과는 다른 단정하고 신성한 기운이 온몸을 감싸는 기분이다.
▼ 다음은 ‘프로시안 예배 묘당(Proshian chapel-sepulcher)’이다. 수도원 복구에 막대한 후원을 했던 프로시안 왕자를 위한 동굴 예배당 겸 그의 묘가 안치된 곳이다. 그래선지 예배당 안에 프로시안을 상징하는 동물을 조각해 놓았다(가문의 문장이라고 했다). 맨 위쪽은 뿔을 가진 숫양(ram)이 고리를 입에 물고 두 마리 사자를 조종하고 있다. 고리와 줄 아래 두 마리 사자 사이에는 독수리가 반쯤 날개를 펴고 하늘로 날아오르려고 한다. 독수리는 두 발톱으로 어린 양(lamb)을 잡고 있다. 상단의 숫양은 죽은 자들을 관장하는 하늘나라의 저승사자로, 낮과 밤이라는 두 마리 사자를 조종하면서 세월을 관장한단다. 주님의 어린 양인 인간은 이 세월의 흐름을 거역 못하고 죽는데, 이승과 저승을 연결해주는 독수리의 도움을 받아 하늘나라로 올라간다나?(내 사진이 흐려서 다른 분의 것을 빌려왔다)
▼ 이들 교회를 둘러보고 나서 ‘카토히케 교회(Katoghikeh church)’의 문을 통해 밖으로 나왔다. 이층에 있는 성가대실로 올라가기 위해서이다. 참! 사진은 없지만 성모교회도 둘러봤고, 내부에서는 하츠카르와 인물 및 동식물 벽장식을 만날 수 있었다.(어두웠던 탓에 사진은 한 장도 못 건졌다)
▼ 본당 파사드는 부조로 새겨진 화려한 문양들로 장식되어 있었다. 맨 위와 유리창 오른쪽에 보이는 둥근 모양의 장식은 영생을 의미한단다. 조금 내려오면 사자가 황소를 공격하는 부조가 있는데, 수도원 재건을 적극 지원한 자칼리안(Zakarian) 가문의 프로시안 왕자를 용맹함을 상징하는 사자에 비유하고 있단다. 조금 더 내려가서 만나는 공작새 두 마리는 왕실을 상징하는데, 수도원 재건에 주도적으로 지원한 왕실에 대한 예우란다. 맨 아래는 포도나무로 장식했다. 조지아보다 먼저 와인을 만들었다는 암묵적 주장이 아닐까 싶다.
▼ 2층으로 올라 ‘상부 가비트(Upper Gavit)’로 간다. 안내도는 ‘파팍과 루주칸의 묘역(Papak & Ruzukan Gavit-sepulcher)’이라 적는다. 수도원 재건에 큰 후원을 한 프로시안 가문의 왕자들 유해가 묻혀있다고 한다. ‘자마툰(zhamatun)’이라고도 불린다는데, 벽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1288년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단다.
▼ 이곳은 ‘성가대실’로도 이용된다고 했다. 때문에 구조가 음향을 고려해서 지어졌을 것이라며, 여러 명이 함께 성가를 부르면 그 소리가 더욱 웅장하게 들린다고도 했다. 실제 소리를 내보면 돔과 벽에 소리가 울려 증폭되는 것을 알 수 있다.
▼ 그렇다면 천장의 저 ‘예르디크(Yerdik)’도 음향효과를 감안해 뚫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나저나 이곳에서 아카펠라 중창단의 공연이 이루어진다고 했다. 동굴의 울림이 가미된 음은 이곳이 천상이 아닐까 하는 착각까지 불러일으킬 정도로 아름답다고도 했다. 하지만 때를 못 맞췄던지 실제로 들어볼 수는 없었다.
▼ 바닥에도 구멍이 하나 뚫려있었다. 이곳에서 부르는 성가대의 노래를 아래층에 있는 ‘프로시안 묘지교회(Proshian chapel-sepulcher)’로 흘려보내기 위해서란다. 하나 더. 성가대실을 2층에 둔 것은 노래를 잘 부르는 여성들을 성가대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라는 주장도 있다. 옛날에는 여성이 성가대원이 될 수 없었기 때문에 안 보이는 곳에서 노래를 부르도록 했다는 것이다.
▼ 밖으로 나오니 ‘게하르트 수도원’의 유래를 알려주는 그림이 눈에 띈다. 이 수도원의 원래 이름은 동굴 사원을 뜻하는 ‘아이리방크(Ayrivank)’였다고 한다. 그러다 십자가에 매달린 예수의 죽음을 확인하기 위해 로마 병사가 찌른 창을 뜻하는 게하르트(Gehard)로 변경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유대인 사도였던 타데우스(Thaddeus)가 예수의 옆구리를 찔렀다는 로마 병사의 창을 아르메니아로 가져왔다고 한다. 현재 이 창은 에치미아진 교회 보물실에 보관되어 있다.
▼ ‘게하르트 수도원’이 들어간 코인도 주조하는 모양이다. 소정의 대가를 지불하면 저 구멍에서 코인이 나온다는 얘기일 것이다.
▼ 정문 앞에서 또 다른 유적을 찾아보기로 했다. 안내도에 성모교회(St. Astvatsatsin cave chapel)로 표기된 지점이 이 부근이었기 때문이다.
▼ 비탈길을 잠시 오르니 수도사들이 은거하며 묵상과 기도를 드리던 수많은 암혈기도처들이 나타났다. 성모교회인지는 모르겠지만 나름대로의 규모와 격식을 갖춘 건물도 있었다. 하지만 안으로 들어가 보지는 못했다. 주어진 시간이 다되어간다는 집사람의 채근을 무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 내부로 들어가려면 조금 더 올라가야 한다. 문을 낼 수 있는 공간이 그쪽 밖에 없었던 모양이다. 아무튼 보기만 해도 아찔한 저런 곳에서 세속의 즐거움을 모두 버리고 주님만을 따르고자 했던 수도승들의 헌신에 경의를 표해본다.
▼ 집사람의 채근에 쫒기면서도 살짝 들여다본 어느 동굴. 앗! 내가 잘못 봤나? 서툴게 쌓아올린 돌탑들이 꽉 차있는 게 아닌가. 덕분에 골짜기를 들어오면서 느꼈던 감정이 이곳에서 대미를 장식했다. 동양이나 서양이나 사람 사는 것은 똑 같다는...
'해외여행(유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르메니아 여행 ⑥ : 코카서스 심산유곡에서 발견한 로마의 흔적들. 가르니 신전 (5) | 2024.09.05 |
---|---|
아르메니아 여행 ⑤ : 세계 최대 주상절리가 만든 ‘돌들의 교향곡’, 아자트 계곡의 주상절리 (2) | 2024.08.29 |
아르메니아 여행 ③ : 성서의 땅에서 ‘노아’의 흔적을 보다. 코르비랍 수도원과 아라라트 산 (2) | 2024.08.09 |
아르메니아 여행 ② : 내륙의 바다, 그리고 호국의 수도원, 세반호수와 세바나 반크 (0) | 2024.08.01 |
아르메니아 여행 ① : 아르메니아 종교건축의 걸작이자 세계문화유산, ‘아흐파트 수도원’ (24) | 2024.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