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 : 아제르바이잔. 바쿠의 올드 시티

 

여행일 : ‘23. 5. 31() - 6. 12()

 

세부 일정 : (아제르바이잔)바쿠고부스탄쉐키(조지아)카헤티시그나기트빌리시(아르메니아)알라베르디세반예레반코르비랍에치미아진(조지아)트빌리시아나우리구다우리카즈베기므츠헤타바투미(튀르키에)리제

 

특징 :  코카서스(Caucasus) : 유럽과 아시아의 경계에 있는 지역으로 현지어로는 캅카스(Kavkaz)’라 부른다. 카스피해와 흑해 사이의 산악지역으로 아름다운 자연과 오랜 역사·문화를 자랑하는 아제르바이잔·조지아(그루지아아르메니아가 있다. 뻔한 코스와 일정, 전 세계에서 몰려온 관광객으로 연일 북적거리는 기존 관광명소에서는 느낄 수 없는 새로운 여행의 감동을 줄 수 있는 지역이다.

 

 아제르바이잔(Azerbaijan) : 이란 및 러시아와 접한 카스피 해 연안의 국가. 국토 면적이 우리나라보다 약간 작은데 경제의 상당 부분을 석유와 천연가스가 지탱하고 있어 불의 나라로 불린다. 동유럽권에 속해 문화적으로 유럽에 가까운 조지아나 아르메니아와 달리 아제르바이잔은 고대부터 근대까지 페르시아·튀르크 문화권에 속했기 때문에 서아시아·중앙아시아 국가들과 접점이 많은 편이다. 그럼에도 동유럽권으로 보는 이유는 19세기 이래로 러시아의 영향권에 속해 있기 때문이다.

 

 바쿠(Baku) : 아제르바이잔의 수도. 바다보다 낮은 카스피 해 연안에 위치,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도라고 한다(가장 높은 수도는 볼리비아의 라파스이다). 캅카스 일대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아제르바이잔 인구의 약 4분의 1 가량이 집중되어 있는 경제의 중심지이다. 2000년대 이후 오일 달러로 아제르바이잔의 경제가 크게 성장하면서 도시 곳곳에 마천루 등 여러 건축물들이 들어서고 있다. 야경이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로 알려진다.

 

 아제르바이잔, 아니 바쿠에서의 첫 만남은 구시가지((Old City))이다. 버스에서 내려 잠시 걸으면 올드 시티 투어의 시작과 끝인 하드록 까페(Hard Rock Cafe)’에 이른다.

 이번 여행은 코카서스 3(아제르바이잔·아르메니아·조지아)을 둘러보는 일정이다. 여행사 지도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흑해 연안의 바투미(조지아 제2의 도시)’도 마지막에 들렀다. 그리고 튀르키예의 리제로 넘어가 이스탄불(환승)을 거쳐 귀국했다.

 올드시티의 주요 볼거리는 지도에 표시된 게 다라고 보면 되겠다. 하지만 이 지도로 찾아다니는 것은 불가능. 앱의 길 찾기 기능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대충 방향을 잡은 다음 무작정 걸으면 된다. 올드 시티의 규모가 작으니 어렵지 않게 찾아 낼 것이다.(지도는 다른 분의 것을 빌렸다)

 하드록 카페 앞에 아제르바이잔 최고의 서정시인 중 한 명인 나타반(1832-1897, Khurshidbanu Natavan)’의 동상이 세워져있다. ‘카라바흐 칸국(Karabakh khanate)’의 마지막 통치자인 메흐디굴루 칸(Mahdiqoli Khan)‘의 딸로 인본주의·우정·사랑을 주제로 한 서정적인 가잘을 잘 썼다고 알려진다. 가잘(ghazals)이란 각 줄 끝에 은율이 있는 2행의 후렴구가 특징인 시의 한 형태이다.

 올드 시티의 주 출입구인 동쪽 성문 밖에는 아제르바이잔의 국민 시인이자 신비주의자인 니자미 간자비’(Nizami Ganjavi)의 동상이 세워진 기념 공원이 있다. 참고로 니자미 간자비(Nizami Gencevi, 1141-1209)’는 아제르바이잔 간자시 출신의 시인이다. 본명은 일야스 이븐 유시프(Ilyas Ibn Yusif). 니자미는 아호로 실로 꿰다’,  단어를 조절한다는 뜻을 갖는다. 다섯 편의 서사시 모음집인 함사(Khamsa)’로 이슬람세계에 필명을 떨쳤다고 한다. 1991년 유네스코는 니자미의 850주년을 기념해 세계 기념 인물로 선정했다.

 기념공원 바로 앞에는 니자미 문학 박물관도 있다. 이슬람식 문양과 디자인을 주로 사용한 건물이다. 건물의 전면 2층에는 유명 문인 6명의 동상이 있다. 이들 동상 때문에 박물관은 마치 성전 같은 분위기를 띤다.(화질 때문에 후면 사진 게재)

 동문으로 들어가면서 바쿠의 과거 그 자체인 올드 시티(Old City)’ 투어가 시작된다. 현대적 도시의 심장부에 위치한 올드 시티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채 7~12세기 중세시대에 만들어진 궁전, 모스크(mosque), 탑 등을 간직하고 있다.

 옛길을 걷다보면 곳곳에서 이정표를 만난다. 아제르바이잔어와 함께 영어를 병기해놓아 어렵지 않게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다.

 오래된 도시답게 눈에 들어오는 건물마다 하나같이 중세풍이다. 맞다. 이곳 올드 시티는 옛 시내 중심이었고 지금도 시내 중심이라고 한다.

 이곳은 아제르바이잔이 갖고 있는 3개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바쿠 성곽도시(Walled City of Baku)’를 품은 문화유적지이다. 그래선지 공사장의 가림막까지도 중세풍의 건축물을 그려 넣었다.

 시르반샤궁(Shirvanshah’s Palace)으로 가는 길, 오른편으로 견고하게 쌓아올린 성곽이 따라온다. 구시가지의 성곽은 12세기 메투쏘르(Menutsshochr) 왕 시대에 건설되었고, 19세기에 보수되었다고 한다. 현재의 성벽은 바다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하지만 중세에는 카스피 해가 바로 아래까지 찰랑거렸다고 한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포루(砲樓)가 만들어져 있는가 하면, 그 안에는 옛 풍경을 떠올려보라는 듯 당시 사용하던 대포를 전시해 놓았다. 그런데 이게 성 안의 주택가를 향하고 있으니 문제다.

 아름답게 치장된 저 건물은 알리 샴시 스튜디오(Workshop Ali Shamsi)’라고 했다. 대문과 벽이 요란스럽게 치장되어있는데, 특히 사자 그림이 눈길을 끈다. 용기, 고귀함, 지혜를 뜻한다나?

 맞은편 나무는 한술 더 떴다. 가로수에 여자 얼굴을 새겨 포토죤으로 만들었는데, 환경운동가들의 먹잇감으로 이만한 게 없겠다.

 이리저리 기웃거리며 한참을 올라가니 모스크와 궁전의 돔형 지붕이 보이고, 궁전의 정면 출입구가 나타난다. ‘시르반샤 궁은 성곽도시인 바쿠가 품은 가장 중요한 문화재 중 하나다. 시르반샤궁전과 메이든탑이 있는 바쿠 성곽도시(Walled City of Baku with the Shirvanshah’s Palace and Maiden Tower)’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2000년 등재)됐다. 하지만 2003년 위기에 처한 유산으로 지적받기도 했다.

 입구의 안내판은 아제르바이잔 건축의 진주로 불리는 시르반샤 궁전(Shirvanshah’s Palace)’ 14-15세기에 지어졌음을 알려준다. 시르반샤 왕조 칼리룰라(Khalilulla) 1세와 1501년 전쟁에서 사망한 그의 아들 파루크(Faruk)의 통치 기간에 건설되었다. 그러나 18세기 러시아 해군의 폭격으로 상층의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18세기부터 20세기까지 복구 작업이 진행됐다. 참고로 Shirvan 9세기경부터 1538년 이란 사파비드에 의해 병합될 때까지 이 지역에 있던 왕국이다. 12세기 이후 문화적 전성기를 누리며 도심에 성곽을 축조하는데, 이때의 건물로 메이든 타워로 남아 있다. 13세기에는 바쿠가 일한국(Il-Khante)의 여름궁전이 되어 건축이 이루어졌다. 14세기까지 바쿠 구시가지(Icheri Sheher)를 중심으로 성이 여러 번 새로 지어지고 고쳐지는데, 그 결과가 현재 쉬르반샤 궁전으로 남아 있다.

 왕궁은 부속 건물들과의 균형감 있는 조화가 자랑이라고 했다. 궁전의 단지는 여러 개의 개별 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거 지역과 다반하네(Divankhane, 공식적인 회의와 연회 장소), 시르뱐샤의 묘, 첨탑이 있는 회교사원, 목욕탕(hammam), 궁중 점성술사였던 세이드 야야 바쿠비(Seyid Yahya Bakuvi)의 묘, 키구바드(Key-Gubad)의 회교사원 등이다.

 입구의 안내판.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했다 그러니 둘러볼 동선 정도는 파악해두고 안으로 들어가자.

 궁전의 파사드(facade : 건축물의 주된 출입구가 있는 정면부)’. 이슬람의 궁전답게 아라베스크(arabesque) 문양으로 가득 채워져 있다. 문자·식물·기하학적인 모티프가 어우러지면서 만들어내는 환상적인 무늬다.

 1층은 국왕의 거주 공간이었다. 집무는 2층에서 보았다고 하는데, 지금은 이곳에서 수습된 유적과 유물을 전시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것은 왕의 계보를 보여주는 표, 그밖에도 왕이 사용하던 물건들이 박물관 형태로 전시되고 있다.

 마치 우물처럼 보이는 저 구멍은 손님이 찾아왔을 때 연회나 만찬을 준비시키던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왕이 사용하던 물건들에서 이슬람 통치자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다. 특히 화려하면서도 정교한 주전자가 눈길을 끈다. 동서 문물의 교류를 설명할 때 자주 언급되는 유형의 주전자다.

 황금빛의 저 화려한 장신구는 말안장이 아닐까? 벽에는 사용하기가 아까울 정도로 화려한 칼도 세 개나 걸려 있었다. 하나 더. 전통악기도 눈에 띈다. 초구르(Chogur)로 불리는 현악기, 산투르(Santur)로 불리는 줄을 쳐서 소리 내는 타현악기, 까발(Qaval)로 불리는 북이라고 한다.

 아랍어로 쓰인 책도 있다. 종교적인 서적이 아닐까 싶다.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그림.

 바쿠 구시가지의 모습을 미니어처 형태로 재현해 놓았다. 옛 서울, 그러니까 한성(漢城) 4대문 안에 궁궐과 관아, 그리고 백성의 거주지역이 함께 들어서 있었음을 떠올려보면 되겠다.

 고궁의 전시관에 어울리지 않는 풍경도 눈에 띈다. 전임 대통령인 헤이다르 알리예프라는데, 그의 사진은 이곳 말고도 시내 곳곳에서 만날 수 있었다. 현 대통령인 일함 알리예프(Ilham Aliyev)의 아버지이기도 한데, 어느 정도 우상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헤이다르는 소련연방 시절 공산당 서기장과 정부 수반을 지냈으며, 1993년부터 2003년까지 아제르바이잔공화국 제3대 대통령을 지냈다.

 정원에는 왕의 스승이자 유명한 점술가, 과학자였던 세이드 야야 바쿠비의 묘당이 있었다. 이밖에도 궁에는 역대왕의 무덤이 있는 디반카나(Divankhana)와 왕가의 영묘도 있다고 했다.

 궁전 벽에는 시바이엘(Sabail) 섬의 요새에서 나온 장식용 패널(명문)과 건축 부재들이 전시되어 있다. 시바이엘 요새는 1306년 지진에 의해 파괴되어 바닷물에 잠긴 후 오랫동안 방치되어 오다가. 18세기 들어 바닷물이 줄어들면서 세상에 드러났다고 한다.

 궁전에서는 빌딩의 숲을 뚫으며 솟아오른 타워전망대와 3개의 빌딩 중 2개만 보이는 플레임 타워(Flame Towers)도 조망된다. 가이드의 말마따나 건물의 모양새가 아제르바이잔의 상징인 불꽃을 쏙 빼다 닮았다.

 나라의 근본은 백성. 그러니 민초들의 삶도 한번쯤은 엿봐야 하지 않겠는가. 첫 만남은 1078~1079년에 건설되었다는 모하메드 모스크(Muhammad Mosque)’. ‘손상된 탑이란 뜻의 시니갈라 모스크(Siniggala Mosque)’로도 불린다. 1723년 러시아 함대가 바쿠에 접근 항복을 요구하다 거부당하자 포격하기 시작했을 때 포탄 중 하나가 미나렛(첨탑)에 떨어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로 인해 강풍이 일어나면서 러시아 함대가 먼 바다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나? 아무튼 바쿠사람들은 이것을 외국 침략자로 부터의 하나님의 보호로 인식했으며 그후 19C 중반까지 모스크의 미나렛을 저항의 상징으로 복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시나갈라(손상된 탑)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궁전 앞의 소공원. 알록달록한 홍차 잔을 포개놓은 것 같은 조형물이 얼핏 탑으로도 보인다. 맞다. 이 탑은 터키, 우즈베키스탄 등 전 세계에 있는 투르크족이 세운 일곱 나라들을 상징한단다. 아제르바이잔도 그중 하나라는 얘기일 것이다. 

 꿩 대신 닭이라고나 할까? 어느 여행 작가가 애국심까지 들먹거리던 무궁화는 눈에 띄지 않았고, 대신 시계꽃을 눈에 담을 수 있었다. 나이 70을 넘기고서도 세계일주의 꿈을 이루어나가는 우리 부부의 열정(시계꽃의 꽃말)’을 대변해주는 꽃이다.

 잠시 후 청동으로 만든 조각상이 눈에 띈다. 얼굴만 있는 이 흉상은 아제르바이잔의 유명한 시인이자 예술가인 알리아가 바이드(1894-1965)’라고 한다. 1990년 제작된 이 조각상에는 우회적으로 표현된 인물들이 조각되어 있는데, 다양한 모습의 사람들과 나무줄기, 뿌리로 얽힌 모습은 가잘칸 나는 위대한 푸줄리의 후계자다라는 작가의 반문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고 한다.

 바쿠의 구시가지 성곽인 이체리 세히르(Icheri Sheher)는 아제르바이잔에서 얼마 남지 않은 중세 도시 중 하나라고 했다. 그래선지 미로같이 연결되어 있는 좁은 길과 밀집되어 있는 건물, 작은 정원 등과 같은 중세 도시의 특징을 그대로 담고 있었다.

 아제르바이잔은 아시아의 서쪽 끝, 유럽으로 가는 길목에 위치한다. 하지만 비치파라솔을 씌운 테이블을 야외에 놓고 손님을 받는 식당에서 이곳이 유럽에 더 가까운 문화를 지니고 있음을 실감했다.

 아기자기 예쁘게도 장식된 좁은 길을 따라 18세기 후반에 건설된 집들이 고풍스럽게 늘어서있다. 골목이 복잡하게 얽혀있다는 느낌이 들기도 하지만 허튼 데가 하나도 없다. 모두들 사무실이나. 작은 레스토랑, 작은 호텔, 오래된 개인집은 하우스 박물관(House Museum)으로 이용하고, 각종 기념품점, 홈메이드 공예품점들도 있었다.

 옛날, 실크로드를 오가던 대상들이 묵었다는 카라반세라이(Caravanserai)'는 현재 고급 레스토랑으로 바뀌었다. ‘물탄(Multani) 카라반세라이를 비롯해 16세기에 지어진 부카라(Bukhara) 카라반세라이 등 과거 이곳이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이었음을 말해준다.

 주마 모스크(Juma Mosque)’라고 했는데 맞는지는 모르겠다. 원래 이곳에는 배화교 신전이 있었다고 한다. 1309년에 아미르 샤라프 알딘 마하무드의 명에 의해 이슬람 모스크로 개조되었다. 세월이 흘러 이게 황폐해지자 1899년에 그 자리에 주마모스크를 새로 지었다고 한다.

 이 나라도 카펫이 유명한 모양이다. 길가 수많은 상점으로도 모자라다는 듯 길바닥까지 전시장으로 삼았다. 그래선지 카펫 박물관까지 만들어놓았다는데 직접 가보지는 못했다.

 올드 시티에서 사람이 가장 많이 모이는 곳은 12세기에 지어진 메이든 타워’(Maiden Tower). 독특한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요새는 직경 16.5m에 높이가 29.5m인 원통형이며 성벽의 두께는 5m나 된다. ‘메이든이란 이름은 아제르바이잔의 다른 요새에서도 나타나는데, ‘정복되지 않는다'’ 또는 확고부동하다는 뜻을 의미한단다. 이름대로 성채는 지금까지 부서지거나 외부 세력에 정복당한 적이 한 번도 없다고 한다. 내부의 나선형 계단을 통해 꼭대기로 올라갈 수 있으나 시도해보지는 않았다.

 일명 소녀의 탑으로 불리는 이 탑은 12세기 건축된 800년 역사의 방어용 고탑으로 몇 가지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대표적인 설은 바쿠 왕의 딸 메이든이 사랑을 이루지 못한 채 이곳에 감금당하자 탑 꼭대기에서 뛰어내려 삶을 마감했다는 이야기다. 또 바쿠 왕이 감금한 여동생이 수치심으로 투신했다는 설과 바쿠성을 쳐들어온 적과 싸운 아름다운 여인의 전설도 있다.(사진은 다른 분의 것을 빌려왔다)

 가이드는 메이든 타워 앞 유적을 바르톨로메오의 무덤이라고 했다. 예수 그리스도의 12 제자 중 한 분이었던 바르톨로메오 사도가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등에 포교를 하다가 잡혀 살갗이 벗겨져 죽임을 당했는데 그 장소가 이곳이라는 것이다. 아르메니아에서 처형당했다는 설도 있으니 참조한다. 하나 더. 귀국해서 검색해보니 이곳을 하맘 목욕탕으로 소개하는 글이 더 많았다.

 저 석상의 정체는 뭘까? 저 유적지를 지켜주는 신상일지도 모르겠다. 저곳에서 52개나 되는 무덤(석관)이 발견되었다니 말이다.

 어느 레스토랑 앞에서 만난 또 다른 조형물

 여행자에게 주어지는 최고의 행운이라는 벼룩시장도 만날 수 있었다. 탐나는 물건도 눈에 띈다. 하지만 눈요기로 끝낼 수밖에 없었다. 우리나라에서 반입을 금지한다는데 어쩌겠는가.

 자유 시간에 들러본 먹자골목(?). 아제르바이잔은 이슬람 문화권이다. 국민 대부분이 이슬람교도이다. 하지만 거리에는 히잡 쓴 여성이 드물었다. 술집도 심심찮게 눈에 띈다. 세속주의 이슬람을 채택하면서 새로운 문명을 받아들인 덕분일 것이다. 하나 더. 한국 사람들에게는 아직 낯선 나라인 모양이다. 투어를 하는 동안 우리 일행 외에는 한 명도 만나지 못했다, 2016년 중순부터는 공항에 도착해서 간단한 비자 신청서만 작성 후 20달러만 제출하면 누구나 비자를 받을 수 있는데도 말이다. 거기다 물가도 조지아·아르메니아·튀르키예 등 주변 국가들에 비해 조금 비싸기는 하지만 우리나라에 비하면 월등히 싸다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