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 성제봉(1.115m, 경남 하동군 소재)
지리산 중앙부 세석평전에서 남쪽으로 흘러내린 능선의 끄트머리로,
지리산에선 흔하지 않게 암릉과 암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멋거리진 모습'이 일품이다
영남과 호남 사이를 흐르는 섬진강을 산행 내내 눈요기 할 수 있으며,
신선대, 성제봉, 깃대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에는 노송지대와 온갖 기암과 반석,
널찍한 억새밭, 조릿대 숲길, 넓은 철쭉 군락지 등으로 이어져 매우 아름답다.
또한 대하소설 `토지'의 무대로 유명한 평사리와 악양들을 만날 수 있다.
현재 소설의 배경을 재현해 놓은 세트장 외에, 실지로 옛 건물을 짓는 공사가 한창이다
산행코스 : 노전마을-청학사-성제봉-신선대-평사리 최참판댁 (산행시간 : 6시간)
특징 : 산에 이정표가 없어 길 잃고 헤매기 십상이다
특히 청학사 쪽에서 오르는 길은 주민들이 고로쇠물 채취 때문인지 등산로 폐쇄 안내문...
무시하고 청학사위 대나무 숲으로 오를 경우 그 댓가를 톡톡히 치를 수 있으니 주의 요망...
산악회에서 매단 리본들을 모두 떼어버려 등산로를 찾기가 여간 어렵지 않다.
아무리 먹고 살기 위해서라지만... 조심해 달라는 안내문이면 더 조심해서 오르내리련만...
성제봉
정상표지석은 없고 철쭉제 안내 푯말과 깃대 끝에 태극기만 펄럭이고 있다
성제봉이라는 표지석은 이곳에서 100쯤 떨어진 봉우리에 세워져 있으나 높이는 이곳이 더 높을 듯싶다
성제봉에서 신선대 내려가는 능선.. 길 양옆으로 허리어림 높이의 철쭉나무 들로 뒤 덮여 있다
5월 철쭉이 필 때면 또 하나의 천상화원이 펼쳐질 듯... 성제봉 푯말에 적힌 철쭉제는 아마 여기서 열릴 듯 싶다
신선대에서 바라본 섬진강
왼쪽이 악양뜰... 토지의 최참판이 살던 곳이란다
신선대 오르는 제법 높은 철계단과 구름다리...
암릉으로 이루어진 곳으로 성제봉 구간에서 제일 빼어난 자태를 자랑한다
"모자 조심하세요!"
센바람은 어차피 계곡의 특징이지만, 간혹 돌풍이 불 때도 있단다
토지의 최참판이 살던 동네엔 옛 촬영세트장 사이사이에 새로운 건물들을 짓고 있다
얼기설기 베니다판으로 엮은 가건물을 목제에 기와를 얹은 영구건물로 바꾸는걸 보면 관광수입이 제법 짭잘한 모양이고
영리한 이곳 지자체는 이런 단물을 오래오래 빨아드리고 싶다는 표현일 것이다
등산, 여행, 먹거리를 찾아 틈만나면 주말마다 전국을 누비는 나에겐 이런 구경거리야 별 의미가 없고,
길목 할머니 좌판에 달래와 머웃대의 싱그러움과 할머니들의 옛스런 정겨움에 한바구니 가득 안고 돌아선다
비슬산, 영취산 같이 군락지는 아니지만
산 곳곳에 진달래 무리들이 꽃망울을 활짝 열고 봄이 무르익었음을 알리고 있다
하산길 곳곳에 널린 동백도 그 붉디 붉은 자태를 자랑한다
이 외에도 매화와 산수유가 곳곳에 한창이지만 지난 산행에서 담았기에 이번엔 생략...
화개 장터...
지리산 맑은 물이 흘러내려와서 섬진강과 만나는 곳에 자리한 화개,
경상남도와 전라남도를 이어주는 화개장터는 해방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5대 시장중 하나
지리산 화전민들은 고사리, 더덕, 감자 등을, 전라도 구례 사람들은 쌀보리를 가져와 팔았다.
화개장터에서 쌍계사까지 이어지는 도로변은 봄날이면 환상적인 벚꽃터널을 이룬다.
점심은 쌍계사 경내에서 산채비빔밥으로...
산채비빔밥은 어느 산골이나 비슷하니, 이곳은 이곳은 명물인 재첩국이 좋으련만...
화계 벚꽃축제 현장... 좌판이나 음식이야 전국 어느 축제장이나 같다
주위에 녹차밭이 많이 보이나, 차로 곁의 매연에 찌들었을 것을 생각하니 그 동안 즐겨 마셔온 내 속이 별로 안 좋아진다
난 사진을 촬영할 때, 사랑하는 사람은 특히 여러모로 구도를 잡아보며 아름다움을 조금이라도 더 담아보려 노력한다. 비록 작은 가슴이지만, 그 좁은 공간에 그녀의 아름다운 모습을 조금이라도 더 많이 차곡차곡 쌓아보고 싶기 때문이다
금산 2시간30분에 성제봉이 6시간... 아내에겐 쉽지 않았을 코스이다
아니나 다를까 다음날 아침 절뚝거리는 그녀...,
그러나 행여나 내가 걱정할까봐 산행내내 웃음을 잃지 않고 따라준 사랑하는 사람에게 완주의 기쁨을 전한다
'산이야기(경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수산 오지산행('08.6.6, 경남 산청군 소재) (0) | 2008.06.09 |
---|---|
별유산('08.4.9, 경남 거창군 소재) (0) | 2008.04.10 |
금산 보리암('08.3.29, 경남 남해군 소재) (0) | 2008.03.31 |
짜릿한 바윗길 오봉산('08.3.2, 경남 함양군 소재) (0) | 2008.03.04 |
작은 용아장성릉 설흘산('08.2.23, 경남 남해군 소재) (0) | 2008.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