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산(부안) 마실길 5코스와 6코스 일부

 

여행일 : ‘16. 4. 4()

소재지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트레킹코스 : 국립변산자연휴양림금강가족타운김해김씨 제각모항 갯벌체험장모항모항해수욕장산림연수원상그릴라솔섬(총 거리 : 11.3km)

 

함께한 사람들 : 집사람과 함께

 

특징 : 부안은 맛과 풍경, 그리고 이야기 등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고 해서 변산삼락(邊山三樂)’이라 불렸다. 누군가가 그랬다. 왜 부안을 일러 변산삼락이라 했는지를 알려면 변산 마실길을 걸어보라고. 총 길이 66km8개 코스로 나눈 마실길에 부안의 모든 볼거리가 담겨 있다는 것이다. 길을 걸으며 자연경관 감상은 물론이고 문학과 역사에 대한 공부, 생태탐방까지도 가능하단다. 세계 최장의 새만금 방조제와 대항리 패총, 곤충체험, 여해신 계양할미를 모시고 있는 수성당, 변산·고사포·모항·상록해수욕장, 사극촬영 명소인 부안영상테마파크, 조각전시관, 소금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필 수 있는 곰소염전, 그리고 곰소 소금을 이용해 만든 젓갈, 줄포자연생태공원 등 발 딛는 곳곳이 온통 볼거리며 즐길 거리, 이야기 거리로 가득하다는 것이다. 거기다 부안의 대표 음식인 바지락 죽을 비롯한 풍부한 먹거리도 접할 수 있다고 한다. 이만하면 그 어디에 내놔도 손색이 없는 일등 둘레길이라고 할 수 있다.

 

트레킹 국립변산자연휴양림(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서해안고속도로 줄포 I.C에서 내려와 710번 지방도를 타고 줄포면(부안군)소재지까지 일단 온다. 이어서 23번 국도로 옮겨 부안방면으로 달리다가 영전사거리(부안군 보안면 영전리)에서 이번에는 30번 국도로 옮겨 변산반도 해안 일주도로를 타고 가다가 국립변산자연휴양림간판을 보고 해안 쪽으로 내려서면 바로 매표소다. 이곳에서 인터폰을 이용해 예약을 확인한 후 가파른 내리막길을 내려가면 해안가에 지어진 자연휴양림이 나온다. 나들이를 위해 머물렀던 국립변산자연휴양림은 기존에 내가 가져왔던 고정관념(固定觀念)을 송두리째 깨버렸다. 휴양림이라면 산속에다 짓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막상 도착해보니 바닷가에 지어 놓았던 것이다. 특히 2개 동으로 된 숙소는 모든 객실에서 아름다운 서해가 눈앞에 펼쳐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휴양림 뒤편에는 솔향과 피톤치드가 가득한 솔바람 숲길 3를 조성했다. 바다와 숲을 한꺼번에 즐길 수 있도록 한 아이디어가 시선하게 다가온다. 휴양림은 숙소인 산림문화휴양관’ 2동 외에도 방문자안내소, 야외수영장, 생태습지관찰원과 전망대 등의 부속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객실 당 하나뿐인 화장실을 보완해 주려고 지어 놓은 크고 깔끔한 야외화장실이 눈길을 끌었다. 고객을 배려하는 자세가 돋보였기 때문이다. 숙소인 산림문화휴양관은 2동으로 원룸형(5인실)과 투룸형(7인실), 그리고 원룸형 복층(다락방, 9인실) 등 다양한 타입의 객실을 갖췄으니 참조한다.



휴양림의 백미(白眉)는 뭐니 뭐니 해도 전망데크가 아닐까 싶다. 생태습지관찰원의 정중앙에 지어놓은 데크에 오르면 아름다운 변산 앞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그 바다에는 어선이 한 척 떠있다. 고기잡이라도 하고 있으려니 했는데 첫날, 그리고 다음날은 물론, 우리가 떠나온 셋째 날까지도 처음 그래도 정박해 있었다. 아무래도 데커레이션(decoration)용으로 갖다 놓은 모양이다. 그건 그렇고 저 바다는 저녁에 더욱 빛을 발한다. 바다 건너 심원면(고창군)의 불빛들이 마치 오징어잡이 배의 집어등처럼 반짝거린다.



마실길 나들이의 시작은 자연휴양림에서부터 시작한다. 리아스식 해안을 끼고 있는 자연휴양림 앞으로 마실길 해안 탐방로’ 8개 구간 중 6코스인 쌍계재 아홉구비길이 지나고 있기 때문이다. 휴양림에서 5코스의 모항까지는 2.3, 7코스인 곰소염전까지는 10.7이다.




마실길로 들어선다. 깔끔하게 잘 정비된 길은 두 사람이 나란히 걸어도 될 만큼 널찍하기까지 하다. 부안군청에서 정성들여 가꾼 결과일 것이다. 독일의 철학자 니체(F. W. Nietzsche, 1844~1900)걷지 않고 떠오르는 생각은 믿지 말라고 단언했고, ‘동의보감의 저자 허준 또한 약보보다 식보가 낫고 식보보다 행보가 낫다고 주장했다. 이로보아 걷는 게 좋다는 것은 동서양을 불문한가 보다. 그러니 어찌 걷지 않고 배길 수 있겠는가. 사람들은 건강을 지키거나, 혹은 마음을 다스리기 위해 어딘가 걷기를 원한다. 그런 마음을 지자체에서 놓쳤을 리가 없다. 그리고 앞을 다투어 가며 길 만들기사업을 벌였다. 그로 인해 생겨난 길 중의 하나가 바로 이곳 변산 둘레길이다.



바닷가를 따라 쳐진 철조망 너머에 군()의 초소가 보인다. 흉물스러운 몰골이다. 철조망에는 군 작전지역이므로 승인되지 않은 접근을 금지한다.’는 경고푯말까지 붙어있어 지나가는 사람들을 겁주고 있다. 언젠가 부안 마실길 일부 구간에 군부대 시설이 수년째 방치되고 있다는 기사(記事)를 본 일이 있었다. 그로 인해 천혜의 자연경관이 훼손되고 있다는 것이다. 바로 저런 시설들을 두고 했던 말인가 보다.



길을 가다보면 가끔 나뭇가지에 매달려 있는 자그만 판자들이 눈에 띈다. 판자들 마다 추로여주(秋露如珠), 가을 이슬은 구슬과 같구나.’ ‘인자요산(仁者樂山)’ ‘화광동진(和光同塵, 재주와 덕을 감추고 세속과 어울림) 등의 사자성어(四字成語)가 적혀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당신을 기다릴 것 같아요’, ‘결코 안 갈 것 같던 시간도 가고, 절대 안 올 것 같던 시간도 온다. 시간은 글쎄도 설마도 없다.’는 등 판자의 뒷면에 적혀있는 글들이 더 눈길을 끈다. 특히 날씨야 네가 아무리 추워봐라 내가 옷 사 입나 술 사먹지라는 술타령은 실소까지 짓게 만들고 있다.



길가 풍경은 절경(絶景)이라고 볼 수는 없다. 하지만 잠깐의 눈요깃거리로는 훌륭하다 할 정도의 경관을 보여준다. 작은 바위벼랑과 손바닥만한 백사장으로 이루어진 해안은 귀엽기까지 하고, 길가에는 벚꽃이나 진달래 등 화사하게 핀 꽃나무들이 즐비하다.





길을 잃을 염려는 없다. 길이 잘 정비되어 있는데다 중요한 포인트마다 이정표를 꼬박꼬박 세워 놓았기 때문이다. 포인트가 아닌 곳일지라도 필요하다싶으면 어김없이 아래 사진과 같은 이정표를 꽂아 두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을 잃었다면 잃은 사람이 더 문제가 있다고 봐야 할 것이다.




길을 가다보면 심심찮게 춘란(春蘭)이 눈에 띈다. 때가 때인지라 꽃망울들을 활짝 열고 있다. 남도(南道)에서나 만날 수 있는 즐거움이 아닐까 싶다.



저 멀리 내변산의 울퉁불퉁한 암릉들이 눈에 들어오는가 싶으면 마실길은 금강가족타운이란 펜션에 이른다. 객실이 많음은 물론이고, 널따란 야외수영장과 족구장, 씨름장까지 갖추고 있는 펜션이다.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으니 갯벌체험이 포함되어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하지만 인적은 찾아볼 수가 없다. 아마 여름철 성수기에만 문을 열지 않나 싶다.




마실길은 펜션의 앞마당을 지난다. 이어서 맞은편 산자락으로 난 오솔길을 지나면 방조제(防潮堤)가 나온다. 둑을 따라 걷다보면 왼편에는 모항의 건물들이 눈에 들어오고 오른편에서는 갑남산의 산줄기가 나타난다. 암릉으로 이루어진 능선이 나름대로 빼어난 산세(山勢)를 자랑하고 있다.




방조제를 지나면 마실길은 비록 잠시지만 30번 국도를 따른다. 도로변에 김해 김씨문중의 제각(祭閣)으로 여겨지는 건물이 보이니 참조한다.



국도를 따라 잠시 걸으면 마실길은 국도와 헤어져 왼편 바닷가로 향한다. 거북이를 빼다 닮은 바위가 보초를 서고 있는 갈림길 들머리에 이곳이 마실길의 종점임을 알리는 이정표(솔섬 4.9Km/ 곰소 13.0Km)가 세워져 있다. 그런데 현재의 위치가 ‘3코스의 종점으로 표기되어 있는 것이 아닌가. 부안군청의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은 지도에 이곳은 분명히 ‘5코스의 종점으로 나와 있다. 이왕에 예산을 들여 만들었다면 조금 더 신경을 썼으면 좋았지 않았나 싶다. 여행자들이 헷갈려할 수도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바닷가를 따라 몇 걸음 더 걸으면 3층으로 지어진 건물이 하나 나타난다. 일정한 돈을 내고 갯벌을 체험할 수 있는 모항갯벌체험장이란다. 펜션과 식당에다 체력단련장과 야외공연장, 인공폭포 등의 부대시설까지 갖추고 있어 갯벌체험을 하려고 찾아온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곳도 역시 텅 비어있기는 매한가지이다.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없음이리라.



진행방향 저만큼에 모항이 보인다. 이름처럼 어머니의 품같이 아늑한 어촌마을이다. 19991231새천년을 잇는 영원의 불씨를 채화했던 곳이라고 한다. 자 그럼 모항으로 들어가 보자. 시인 안도현은 말대로 변산의 똥구멍까지 속속들이 다 알아보기위해서이다.



체험장에서 조금 더 걸으면 바다의 위에다 만들어 놓은 전망데크가 나온다. 모항 앞바다의 갯벌이 한눈에 잘 들어오는 곳이다. 여기서 갯벌체험을 짚고 넘어가지 않을 수는 없다. 자 그럼 체험을 떠나보자. 편안한 복장에 챙이 넓은 모자를 쓰고 갯벌체험장으로 간다. 갈고리와 바구니를 받아들었으면 준비는 완료된 셈이다. 이때 신발은 벗어버리자. 대신 헌 양말만 신으면 된다. 갯벌이 단단해서 발이 빠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갯벌 아무데나 자리를 잡고 갈고리로 개흙을 떠가며 조개를 잡는다. 조개는 깊은 곳에 서식하지 않기에 개흙을 조금만 떠내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갯벌에 쪼그려 앉아야 해서 힘들어 보이겠지만, 조개를 발견하고 바구니를 채우는 재미에 시간 가는 줄 모를 것이다. 모항 갯벌에서 채취하는 조개는 가무락조개라 불리는 모시조개와 동죽이다. 채취한 조개는 집으로 가져가면 된다. , 1인당 1kg까지만 채취할 수 있다니 참조한다.



모항에서는 마을로 들어가는 것을 사양하고 곧바로 해수욕장으로 향한다. 방풍림(防風林)으로 조성된 듯한 오래 묵은 해송(海松)들이 지금은 피서객들의 편안한 쉼터로 변해있는 해수욕장이다. 이 해송 숲은 모항해수욕장의 랜드마크(landmark)이기도 하지만 전국 사진작가들의 일몰 포인트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곳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안도현 시인의 모항 가는 길이 유명세를 타면서 변산반도의 관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곳이 되었다. 안 시인은 모항을 아는 것은 변산반도를 속속들이 다 안다는 뜻이라고 표현했다. 아무튼 보드랍기 짝이 없는 모래사장과 멋진 노송들이 함께 어우러지는 경관이 아름다운 해수욕장임에 틀림없다. 참고로 이 해수욕장은 국토해양부에서 최우수 청정 해수욕장으로 선정(2010)한바 있다.




해수욕장을 빠져나오면 국도(이정표 : 솔섬 3.1Km/ 버스타는 곳)와 다시 만난다. 이어서 국도를 따라 잠시 걸으면 모항전망대가 나온다. 망망대해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 변산산림수련관이 주변 풍경과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멋진 경관이 조망되는 곳이다.





전망대의 맞은편 언덕 위에는 바람의 정원 펜션이 있다. 펜션은 갑남산의 암릉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언덕의 경계선에는 수많은 바람개비들을 세워 놓았다. 펜션의 이름과 잘 어울리는 조형물이 아닐까 싶다.



전망대를 조금 지나자마자 왼편으로 내려선다. 국도와 헤어지는 지점에 이정표(솔섬 2.9Km)가 세워져 있으니 참조한다. 잠시 후 조금 전에 보았던 변산산림수련관을 만난다. 산림공무원을 비롯한 산림관계자들의 수련과 교육 및 휴양을 위한 시설로, 3개 층 14개의 객실에 100여명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다고 한다.



산림수련관을 지나면 마실길은 바닷가 갯바위 위를 따른다. 바위의 경사가 못내 조심스러웠던지 데크로 길을 만들어 놓았다. 데크길이 푸른 바다와 어우러지며 만들어 내는 풍경이 무척 아름다운 구간이다. 5코스의 백미(白眉)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 같다.





바위구간이 끝나는 곳에는 정자(亭子)를 지어 놓았다. 정자에 오르면 서해바다가 거칠 것 없이 펼쳐진다.



정자를 지나서도 마실길은 계속해서 바닷가를 따른다. 하지만 이번에는 맨땅이다. 그리고 잠시 후 길가에 조성해놓은 유채 밭을 만난다. 사람들은 유채꽃, 특히 푸른 바다를 배경으로 한 대규모의 유채꽃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제주도와 부안의 수성당을 꼽는다. 비록 그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샛노란 유채꽃이라도 피는 시기에라도 찾아온다면 맞은편 푸른 바다와 어우러지는 멋진 광경을 볼 수도 있겠다.




유채밭을 지나면 또 다른 정자(亭子), 그리고 잠시 후에는 널찍한 해안을 마당으로 삼고 있는 상그릴라펜션에 내려서게 된다. 이층으로 지어진 커다란 본관 외에도 가지각색으로 지어진 작은 방갈로들로 이루어진 독특한 구조를 지닌 펜션이다. 언덕 위에 야외캠핑장도 만들어져 있는 걸로 보아 캠핑마니아들도 즐겨 찾는 모양이다. 하긴 캠핑과 물놀이를 함께 즐길 수 있으니 어찌 찾지 않을 수 있겠는가. 하지만 이곳도 역시 텅 비어있기는 매한가지이다. 그저 스쿠버다이버(scuba diver) 몇 명이 잠수 준비를 하고 있을 따름이었다.




샹그릴라(shangrila)는 히말라야에 실제로 존재하는 어느 지역의 지명인 것처럼 알려져 있으나 영국의 베스트셀러 작가 제임스 힐튼(James Hilton)1933년에 펴낸 잃어버린 지평선(Lost Horizon)’이란 소설에서 이상향으로 창안해 낸 가상의 도시일 따름이다. 하지만 샹그릴라는 이상향을 가리키는 어휘로 사용될 정도로 일반화 되어 있다. 이곳이 샹그릴라에 가까울 정도라고 완전하고 평화로운 곳이라고 해서 그런 이름을 붙였나 보다. 마치 자기가 이상향에 들어서기라도 한 듯 집사람의 얼굴에는 행복에 겨워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가장 눈길을 끄는 건 바닷가 모래사장에 만들어 놓은 대형 그네이다. 바다를 향해 그네를 지치기라도 하면 저 너른 서해바다가 온통 내 것이 될 것만 같다. 내 발아래에 깔려있는 이상 내 것이나 다름없을 테니까 말이다.




상그릴라를 지나 다시 오솔길로 들어선다. 처음으로 상록활엽수를 만나게 되는 구간이다.



길을 가다보면 줄에 매달려 있는 자그만 판자들이 보인다. 글씨가 희미해져 알아 볼 수는 없지만 매달은 이의 소망이 적혀있는 판자들일 것이다. 가끔 외국 여행을 하다보면 이런 풍경을 만나게 되는데 우리나라에서도 보게 되니 반갑기까지 하다.



잠시 후 저만큼에 전북학생해양수련원 건물이 나타나면서 마실길 5코스가 끝을 맺는다. 수련원 앞에 있는 작은 섬이 바로 솔섬이기 때문이다.



무인도인 솔섬은 섬이라고 하기가 민망할 정도로 작고 외로운 섬이다. 하지만 섬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가 그런 편견들을 불식시켜버리기에 충분할 정도로 멋지다. 특히 저녁노을 때의 낙조 풍경은 전국에서도 손꼽힐 정도로 아름답다고 한다. 붉은 해가 솔섬을 넘어가는 길에 솔섬에서 자라고 있는 소나무에 잠시 걸리게 되는데, 이때 용(소나무)이 여의주(태양)를 물고 있는 형상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솔섬이 건너다보이는 학생해양수련원 앞에는 새겨둘 내용도 없는 글귀를 적어 놓은 솔섬에 대한 안내판과 부안마실길 안내도’, 그리고 이정표(궁항 3.0Km/ 버스타는 곳/ 모항갯벌체험장 4.7Km)가 세워져 있다. 이곳이 2코스의 종점이란다. 하지만 군청 홈페이지에는 4코스 종점으로 나와 있으니 참조한다. 하긴 마실길에 세워진 이정표들은 하나 같이 이런 식이었다. 마실길 구간을 4개의 코스로 나누느냐, 아니면 8개로 나누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게 되는데, 이를 제대로 정리하지 못했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