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 : 중국 태항산 여행

 

여행일 : ‘18. 10. 8() - 10.12()

일 정 : 석가장(8)휘현 천계산·왕망령·만선산(9)임주 태항산대협곡(10)임주 팔천협(11)안양 문자박물관(11)석가장 조운묘(12)

 

여행 둘째 날  : 천계산(天界山) 운봉화랑(雲峰畫廊)

 

특징 : 풍경이 아름답다고 해서 백리화랑(百里画廊)이라고도 불리는 천계산의 정확한 이름은 '회룡 천계산(回龍 天界山)'이다. 보통 줄여서 회룡또는 천계산이라 부른다. 총면적은 43km²로 용음협, 운봉화랑, 천하철정, 사자령 등 네 부분으로 구성돼 있다. ’천계산(天界山)‘은 산과 하늘의 경계선이라는 산의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하늘을 찌를 듯이 높이 솟아오른 산이다. 정상인 노야정(老爺頂)과 주변 산봉우리를 전동카를 타고 한 바퀴 돌면서 태항산의 멋진 절경과 장엄한 풍광을 감상할 수 있는데, 이 길을 운봉화랑(雲峰畵廊)이라 부른다. 절벽 위에 구름이 걸쳐 있을 때 구름과 봉우리의 모습이 마치 한 폭의 그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그 빼어난 경관 덕분에 '북방의 계림'이란 별명까지 얻고 있단다. 이 운봉화랑에는 청선대(聽禪台문금대(聞琴台여화대(如画台단봉대(丹凤台귀진대(歸眞台희룡대戱龍台시담대(試膽台) 등 모두 7개의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어 보는 이들의 눈을 즐겁게 해준다. 특히 길이가 300m에 이르는 유리잔도는 낭떠러지 위에서 걷는 짜릿함을 선사해준다.


 

주차장에 이르자 산문(山門) 위에 적힌 회룡(回龍)‘이라는 문구가 눈길을 끈다. 누군가 천계산의 정확한 이름이 '회룡천계산(回龍天界山)'이라더니 맞는 모양이다. 그는 또 이를 줄여서 회룡(回龍)’ 또는 천계산(天界山)’이라 부른다고도 했다. 입구에 세워진 관광 안내판도 역시 같은 지명을 쓰고 있었다. 남태항산맥의 대표적 풍경구인 이곳 회룡관광지가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것은 물론이고 홍색문화와 도교문화가 잘 융합된 특징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홍색문화란 홍암절벽을, 그리고 도교문화는 중국 도교의 최초발상지라는 노야정(老爺頂)‘을 이르는 말일 것이다. 안내판에는 예로부터 중국에서 전해온다는 남금정 북철정(南金頂 北鐵頂)‘이라는 문구도 적어놓았다. ’남정은 무당산에 있고 북철은 태항산에 있다는 전설이란다. 신선(神仙)의 도()를 이룰 수 있는 이상향(理想鄕)이 이곳 천계산에 있다는 말일 게다.




하늘과 산의 경계라는 천계산 역시 한국 관광객들이 엄청나게 많이 찾는 관광지인 게 분명하다. 입구에 세워진 경구안내도(景區案內圖)가 그 증거라 하겠다. 맨 위에다 자기네 말인 한자로 이곳에 대한 설명을 적고, 그 아래에 영어와 한글, 그리고 일본어의 순서로 번역해 놓았다. 이뿐만 아니라 잠시 후에 만나게 될 7개의 전망대에 세워져 있는 안내판에도 한글 설명이 들어가 있다.




표를 끊어 안으로 들어서니 울퉁불퉁한 근육질로 이루어진 천계산의 암릉이 한눈에 쏙 들어온다. '천계산'(회룡) 풍경구는 국가급 여유경구가운데서도 두 번째 등급인 ’AAAA‘라고 한다. 품고 있는 경관이 그만큼 아름답다는 증거일 것이다. 아니나 다를까 눈에 들어오는 풍경 하나하나가 빼어나지 않는 것이 하나도 없다.




천계산의 하이라이트는 물론 운봉화랑(雲峰畵廊)이다. 그 운봉화랑이 시작되는 상부 주차장까지는 여유경구(旅遊景區)에서 운행하는 셔틀버스를 이용한다. 한없이 꿈틀거리는 구절양장의 도로를 따라 위로 오른다. ’괘벽공로(掛壁公路)‘라는데 구불대지도 못하는 곳에서는 아예 절벽을 뚫고 지나가버렸다. 그것도 기계의 힘을 빌지 않고 오로지 사람의 힘으로만 뚫었단다. 그러다보니 곡괭이와 정으로 쪼아낸 바위조각들을 내다버릴 구멍이 필요했을 것이다. 절벽에 일렬로 뚫려있는 구멍들이 바로 그것이란다. 그 구멍이 지금은 채광창의 역할까지 겸하고 있단다.



이 길은 외부와 단절된 상태에서 살아가던 마을 사람들이 밖의 세상과 소통하기 위해 기계의 도움 없이 삽과 정, 곡괭이로 15(안내도에는 3년으로 적고 있었다)에 걸쳐 암벽을 뚫은 길이 1,250m의 터널이다. 터널의 초입에서 우린 주민들의 노고를 짐작할 수 있는 동상(銅像)을 만날 수 있었다. ’우공이산(愚公移山)‘이란 고사성어(故事成語)를 만들어낸 산에 기대어 살아가는 사람들답다 하겠다.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긴다는 뜻의 우공이산(愚公移山)‘은 열자(列子)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데 나이가 90에 가까운 우공(愚公)이란 사람이 왕래를 불편하게 하는 두 산(太形山王屋山)을 대대로 노력하여 옮기려고 하자, 이 정성에 감동한 옥황상제가 산을 옮겨 주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당시 우공이 태항산의 흙을 파서 발해만까지 한 번 운반하는데 1년이 걸렸다고 한다. 그렇게 해서 어떻게 저 거대한 산을 옮길 수 있다는 말인가. 하지만 이는 어떤 일이든 꾸준하게 열심히 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는 말도 된다. 빨리 결정하고 빨리 포기해버리는 것이 일상이 되어버린 현대인들에겐 귀감이 될 수 있는 고사가 아닐까 싶다.



상부 주차장에 도착하자 청봉관(淸峰關)‘이라고 적힌 구역안내도가 길손을 맞는다. ’예진관(豫晋關)‘이라고도 불린다는데 하남성과 산서성의 경계에 놓인 탓에 지세가 험준하여 방어하기는 쉽지만 공격하기는 어려우므로 전략적으로 필히 쟁탈해야만 하는 곳이란다. 노야정 아래에 있는 고개 또한 청봉위(淸峰蘶)라고 하기에 산으로 명명하여 청봉관이라 부른다는 지명에 얽힌 사연을 적어 놓았다. ’()‘자로 적어놓은 것이나. ’청봉관을 산으로 여겨 만들어낸 이름이라는 것(’은 산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등 엉성한 번역이 다소 헷갈렸지만 그냥 넘어가기로 한다. 그건 그렇고 안내판에는 회룡 주민들이 고생해서 괘벽공로를 만들었다는 내용과 함께 청봉관은 노야정에서 사다리로 연결된다고 적고 있다. 그렇다면 청봉관은 이곳이 아니라 노야정을 이르는 말일 수도 있겠다.




광장에 이르자 건너편 산자락에 설치해놓은 케이블카가 눈에 들어온다. 관광객들을 1,570m 높이의 노야정(老爺頂)‘으로 데려다주는 유일한 수단이라고 한다. 저 케이블카를 타지 않고서는 노야정에 오를 수 없다는 얘기이다. 케이블카에서 내린 뒤에는 또 다시 777개의 돌계단을 올라야 하겠지만 말이다. 노야정은 도덕경(道德經)의 저자이자 도교사상(道敎思想)의 창시자인 노자(老子)120세에 생을 마칠 때까지 42년간 도를 닦으며 지냈다는 곳이다. 그런 곳을 도교에서 그냥 놓아두었을 리가 없다. 성지(聖地)로 꾸며 놓았을 것이 분명하다. 하지만 지극히 성스러운 곳은 아무 때나 속살을 보여주지 않는 모양이다. 오늘은 바람이 심해 케이블카가 운행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안전을 위한 인간의 조치겠지만, 바람을 일으킴은 본디 하늘만의 능력일지니 노자의 안식처를 보거나 그러지 못하는 것은 오로지 하늘의 뜻이 아니겠는가.




절벽 쪽으로 나아가자 입이 딱 벌어지게 만드는 어마어마한 풍경이 눈앞에 펼쳐진다. 오른편이 온통 붉고 거대한 바위절벽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별천지라 하겠다. 누군가 대륙의 절경들 가운데서도 단연 돋보이는 곳이 바로 태항(太行) 대협곡이라고 했다. 면적이 225에 이를 정도니 동양의 그랜드 캐니언이라 불리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라면서 말이다. 정확한 표현이라 하겠다. 눈앞에 펼쳐지는 풍경이 그야말로 대륙의 스케일이 무엇인지를 느끼게 해 주는 압도적인 규모이기 때문이다.






위에서 거론했듯이 이곳은 한국 관광객들의 천지다. 귓가를 스쳐가는 언어가 중국어보다 한국어가 더 많다면 믿을 수 있을는지 모르겠다. 그 증거는 산위에서도 만나게 된다. ’드림, 산채비빔밥이란 브랜드를 내건 한국식당이 가장 커 보였기 때문이다. 메뉴 역시 컵라면과 이동막걸리에 파전, 비빔밥 등 한국의 여느 식당에라도 들어온 듯했다. 이런 풍경은 천계산 입구의 카페에서도 볼 수 있었다. 막걸리를 팔고 있었는데 이동막걸리 2병을 주문하면 파전 하나는 서비스로 준단다.




식당가를 지나자 또 다른 안내도가 기다린다. 이번에는 운봉화랑(雲峰畵廊)‘에 대해 적어놓았다. 해발 1,570m인 노야정의 산 중턱에 위치한 길이 8의 둥그런 회랑식 풍광대(回廊式 風光帶)‘인데 옥띠가 청산 사이를 감싸고 있는 듯하고, 늘 구름 속에 묻혀 있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천 길 낭떠러지를 한 바퀴 돈다고 해서 ’360도 관광이라고도 한단다. 이때 만나게 되는 청선대와 시담대, 문금대, 여화대, 희룡대, 단봉대, 귀진대 등 뷰포인트 7곳은 덤이란다.




천계산 관광의 꽃은 단연 전동차를 타고 운봉화랑(雲峰畵廊)에 있는 전망대들을 한 바퀴 돌아보는 것이다. 네모진 식빵처럼 생겼다고 해서 빵차(面包車)‘라는 별명을 얻은 운송수단이다. 반쯤 우스개로 운행 중에 하도 빵빵거려서 빵차로 부른다는 이야기도 있으니 참조한다.




빵차가 속도를 내기 시작하더니 이내 절벽길을 내달린다. 해발 1,570m의 천계산 허리길인 운봉화랑(雲峰畵廊)이다. 천계산의 백미(白眉)는 누가 뭐래도 빵차를 타고가면서 만나게 되는 7곳의 뷰포인트에서 구름과 봉우리가 빚어내는 수려한 경관을 만끽하는 것이다. 눈에 들어오는 주변 풍경이 하나같이 천 길의 낭떠러지다. 이렇게 험한 곳을 어떻게 관광지로 개발할 생각을 했을까.



사방이 온통 붉은색의 사암(沙岩)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계산이 홍암 대협곡(紅岩 大峽谷)’이라고도 불리는 이유가 바로 저렇게 선명하게 빛나는 사암 때문일 것이다. 전문가들에 의하면 사암 절벽 곳곳에서 천계산의 역사가 기록된 단층이 보인다고 했다. 깎아지른 절벽 위에서 과거 수심이 얕은 잔잔한 퇴적 환경이었음을 암시하는 연흔(漣痕)과 사층리(斜層理)가 나타난다는 것이다. 진흙과 모래가 뚜렷이 구분된 퇴적층의 두께와 색깔도 각양각색이란다.



첫 번째로 빵차가 멈춘 곳은 희룡대(戱龍台)‘이다. 이곳에서 바라보이는 산의 모양새가 마치 봉황(鳳凰)이 하늘로 날아오르는 형상을 하고 있고, 산 아래의 두 산마루는 용() 두 마리가 날아오르려는 자태란다. 안내판에는 쌍용희벽(双龍戱璧)’이라는 문구도 적혀있다. 누군가 운봉화랑을 설명하면서 불와태항영공관협’, ‘봉황전시’, ‘쌍용희벽’, ‘균태태항’, ‘승상태조’, ‘십이금균뇨태항등의 경관을 볼 수가 있다고 했는데, 전면에 보이는 경관이 그 가운데 하나가 아닐까 싶다.





건너편 바위절벽에 아슬아슬하게 걸려있는 잔도(栈道)가 눈에 들어온다. 천애(天涯)의 까마득한 절벽에다 선반을 매달 듯 다리를 놓았다. 가이드의 말로는 귀진대(歸眞台)’ 부근에 있는 고공잔도(高空棧道)란다. 그렇다면 운봉화랑에 있는 7개 전망대 가운데서 가장 빼어난 경관을 자랑한다는 귀진대를 그냥 지나쳐버렸다는 얘기가 아닌가. 하지만 시설을 수리하는 중이라는데 어쩌겠는가. 아쉽지만 얼마 전 JTBC-TV에서 방영했던 영상을 보았던 것으로 만족해야겠다.



두 번째로 멈춘 곳은 운봉화랑의 하이라이트라는 유리잔도(玻璃栈道)‘. 수백m 높이의 까마득한 절벽에 선반을 매달 듯 만들어 놓은 다리인데 바닥을 유리로 깔았다고 해서 유리잔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러니 마치 허공을 걷는 느낌이 들 것은 당연한 일일 것이다. 겁나는 이 길은 길이까지 엄청나게 길단다. 악명 높은 장가계의 유리잔도보다도 무려 5배나 긴 300m라는 것이다. 이곳은 JTBC-TV의 인기 여행프로그램인 뭉쳐야 뜬다에서 소개되면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바 있다. 평소에 겁이 없다고 알려진 김용만과 조세호까지도 생각보다 세다는 평을 했을 정도이며, 겁쟁이로 소문난 정형돈의 걷는 모습은 가관이었다. 특히 누군가 옆으로라도 다가올라치면 오지마라고 외쳐대던 여성 진행요원의 괴성은 지금까지도 귓가를 맴돌고 있을 정도이다.



유리잔도를 걸어야할 것인가를 놓고 고민이 시작된다. 지난번 뭉쳐야 뜬다의 멤버 가운데 하나인 정형돈이 겁에 질려 허둥대던 모습이 눈에 선하기 때문이다. 특히 여자 진행요원이 질러대던 괴성이 아직도 귓가에서 맴도는데 나 역시 겁이 많은 편이니 어쩌란 말인가. 몇 번을 망설이다가 그냥 모험을 감행하기로 한다. 겁쟁이라 놀려대는 집사람 앞에서 사내대장부의 품위를 보여주기로 한 것이다.





▼ 잠시 후 강화유리로 된 바닥이 나타난다. 그러자 여행객들의 걷는 속도가 갑자기 더뎌진다. 아니 더 이상 나아가지를 못하고 괴성만 질러대는 사람들도 몇 보인다. 아래로 떨어질 것 같아서 도저히 못 걷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안전에 걱정할 필요는 없다. 바닥에 깔린 유리가 특수 제작된 강화유리이기 때문이다.




그나저나 난 평소와는 다른 집사람의 진면목을 엿볼 수 있었다. 나를 두고 겁쟁이라고 놀려대던 집사람이 막상 이곳에서는 유리 위로 올라서지를 못하는 것이다. 암벽과 유리 사이에 만들어진 좁은 틈새에 올라서서 걷는 모습이 차라리 가관이었다. 반대로 난 대범해질 수밖에 없었다. 오금을 못 펴고 있는 집사람을 보살펴주어야 했기 때문이다. 유리 위를 걷는 게 문제가 아니라 난간에 기대어 포즈까지 취할 정도였으니 겁쟁이라는 말은 이제 나에게는 필요 없는 단어가 되어버렸다.










세 번째로 들른 곳은 시담대(試膽臺)‘이다. 무시무시한 절벽도 모자라 그 끝에다 돌출형의 10m짜리 다리를 만들어 놓았다. 아슬아슬하기 짝이 없는 다리인 시담대는 마치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는 곳이다. 특히 다리 끝에 위치한 팔각전망대는 운봉화랑 전망대 중 끝판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아름다운 풍경과 아찔한 기분을 선사한다. 참고로 시담대라는 이름은 담력을 시험해 볼 수 곳이라는 뜻을 갖고 있단다. 사람들의 몸무게까지도 부담스러웠던지 한꺼번에 올라설 수 있는 인원까지 제한하고 있었다.






시담대에 올라서면 맞은편에 위치한 와불산(臥佛山)‘이 한눈에 쏙 들어온다. 부처님 두 분이 누워있는 모습으로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하지만 난 부처님의 형상을 그려낼 수 없었다. 무학대사께서 시안견유시 불안견유불(豕眼見唯豕, 佛眼見唯佛)’라고 하지 않았던가. 그러니 하찮은 중생의 눈으로 어찌 그런 현묘한 그림을 그려낼 수 있겠는가. 다른 한편으로 전망대에서 바라보는 천계산풍경구의 대협곡은 대륙의 웅장함그 자체다. 중국의 그랜드캐니언이라 불리는 거대한 협곡 속으로 흐르는 한줄기 강은 강인함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가진 자연의 위대함을 새삼스레 느끼게 해준다.




다섯 시간이 넘게 달려서 도착한 휘현(輝縣)려도호텔(Hualong lidu hotel)‘

휘현은 중국 호남성 북부의 현으로 태항산 관광의 거점도시이다. 인근에 은·상나라 중·후기의 유적이 분포되어 있으며, 춘추전국시대에는 진위나라(晋魏)의 문화권이었다. 그만큼 여행객들이 많이 찾아온다는 증거일 것이다. 그 때문인지 자그만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호텔의 규모나 시설, 제공되는 서비스 등이 다른 거대 도시들의 호텔에 비해 하등 뒤길 게 없었다. 아침식사 또한 준 4성급답게 우리 입맛에 딱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