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락산 (進樂山, 732m)
산행코스 : 수리너머재→북서릉→전망대→737봉→도구통바위→영천암→보석사 (산행시간 : 4시간)
소재지 :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과 남이면의 경계
산행일 : ‘09. 12. 12(토)
같이한 산악회 : 청지산악회
특색 : 그리 높지 않은 흙산이나 정상을 잇는 능선이 암릉으로 이루어져있어, 흙산의 단점인 지루함을 없애게 만들어 주는 산. 보석사로 내려가는 하산길은 급경사로 겨울철에는 주의가 필요
⇩ 산행들머리는 수리넘이재
금산읍에서 남이면 방향으로 넘어가는 고개에 주차장이 설치되어있다. 오로지 진락산을 찾아오는 등산객들을 위한 편의시설인 모양인데, 등산로 주변정비나 이정표 설치 등, 금산군에서 진락산에 쏟는 정성들이 한층 살갑게 다가온다.
⇩ 지그재그, 그리고 임도를 연상케하는 평탄한 길, 그렇게 10분 넘게 오르면 우측으로 잘 정비된 소나무숲길로 이어진다. 등산로 가에는 장승이 둘...
⇩ 다시 지그재그 등산로를 따라 한참을 오르면 왼편 이래로 금산읍이 내려다보이는 북서릉 사거리 안부에 닿는다.
⇩ 사거리 안부에서 북서릉을 타고 10분 정도 오르면 정면으로 수석처럼 암골미를 드러내는 진락산 북사면이 펼쳐진다. 서서히 왼편 멀리로 대둔산이 보이기 시작한다.
⇩ 땀을 닦아주는 한줄기 산들바람과, 저 장엄한 산줄기가 주는 시원함, 그리고 배낭에서 꺼내 마시는 한 모금의 시원한 물, 이것이 바로 산을 오르는 이유가 아닐까? 아무튼 산을 오르는 것은 정신의 청량함을 맛보려는 것일 것이다.
⇩ 첫 번째 만나는 암봉에 올라서면, 자욱한 안개사이로 금산읍내와 인삼밭들이 눈 안에 들어온다. 산으로 둘러싸인 낮은 분지에 들어앉은 금산읍은 아늑한 모습을 띠고있다.
⇩ 산의 능선길을 걷는다. 등산로 주변은 소나무, 대부분 반송이다. 키가 크지 않고. 나무 둥치의 아래에서 가지가 벌어지고 있다.
⇩ 능선 길에는 소나무가 주종이다. 아직 활엽수들이 여기까지는 잠식하지 못한 것 같아 다행이다. 뭐니뭐니해도 우리네 산은 소나무가 제격이니까...
⇩ 될 수록 천천히 걸어본다. 멀리 바라보이는 산봉우리들에 눈을 맞추기도 하면서 걸어간다. 서두를게 무에 있으랴~ 날이 저물면 못다간 길은 남겨둔 채로 내려서면 그만인 것을...
⇩ 진락산은 금산인삼의 발생지, 지금으로부터 약 1500년전 백제시대에 효성이 지극한 강처사가 노모의 병 치료를 위해 관음봉 관음굴에서 기도하던 중 산신령의 현몽으로 인삼의 씨를 얻어 처음 재배하기 시작했단다.
⇩ 능선의 올망졸망한 암릉을 따라 걸으며, 바위와 소나무가 어우러진 멋진 경관에 빠지다보면, 원효암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난다.
⇩ 원효암 내려가는 바위 위로 길다란 밧줄이 늘어져있다. 바위의 경사는 그리 심한 것 같지 않지만, 밧줄을 매어 놓은 것을 보면, 원효암에서 올라오는 길은 그리 쉽지 않을 듯...
⇩ 정상에서 금산읍 방향을 내려다보면 수십 길 낭떠러지가 아찔하게 서있다. 금산은 역시 ‘인삼의 고장’ 들판이 온통 인삼밭 천지이다.
⇩ 원효암에서 올라오는 길과 만나는 안부에서 주능선을 타고 10분 못되게 오르면 30여 평 넓이 헬기장이 나온다. 바로 진락산 정상이다. 정상에는 어른 키 높이의 정상표지석이 서 있다.
⇩ 발 아래로 금산읍내가 시원하게 펼쳐진다. 금산읍 뒤 멀리 보이는 것은 아마 천태산일 것이다.
⇩ 남쪽을 바라보니 수많은 연봉들이 구름위에서 파도처럼 일렁이고 있다. 낮게 깔린 구름 때문에 시계가 그리 맑지 않아 어느 산인지를 딱 부러지게 끄집어 낼 수는 없지만 장엄하기는 짝이 없다.
⇩ 남으로는 전북 운장산과 구봉산... 대둔산은 어디에 있지?
⇩ 정상에서 아기자기한 암릉구간과, 바위 위에 심혈을 기울여 기른 듯 싶은 소나무들... 어렵게 바위위에 뿌리를 내린 소나무들 사이를 통과하면 정상보다도 더 높다는 737봉이 나온다.
⇩ 봄, 여름이 지나고, 가을 또한 가버린 山川, 빈 나뭇가지 사이로 파란 하늘이 있다. 나무 하나하나가 裸木... 그래서 낙엽활엽수는 겨울철이면 서러워 보이나보다. 일년 내내 가꾸고 지켜왔던 자존심, 잎새와 함께 잃어버리고, 다가오는 겨울철 찬바람 앞에 서서 빈 가지만 흔들어댄다. 얼마 안 있으면 저 가지위엔 흰눈 소복이 쌓일 것이고, 그리고 나목들은 또 다른 나날들을 기다리겠지, 찬란한 봄을...
⇩ 정상비석이 있는 진락산에서 남동쪽 주능선으로 1.3km 거리에 있는 737봉은 정상인 주봉(732m)보다 조금 더 높다. 그런데도 주봉이 못된 것은 금산읍에서 737봉은 보이지 않기 때문이란다.
⇩ 하산은 남동쪽 737봉을 경유하여 석동리 보석사로 내려서는 코스가 보편적이다. 737봉에서의 하산로는 급경사, 로프가 메어져 있지만 겨울철 등반시에는 주의가 요망된다.
⇩ 능선을 따라 내려가다, 남쪽 등산로로 접어들면 돛대처럼 생긴 바위가 나온다. 일명 ‘도구통 바위’, 도구통은 절구통의 전라도 사투리이다. 우리네 나이쯤 되면 도구통이 무엇인줄 알겠지만, 과연 젊은 사람들은 저 바위에서 도구통의 어떠한 형상을 떠올릴 수 있을까???
⇩ 영천암
도구통바위를 뒤로하고 남쪽 급사면을 지나, 바닥이 바짝 말라버린 계곡을 따라 걷다보면 산중 암자인 영천암이 나타난다. 영천암은 보석사와 같은 연대에 창건된 것으로 추정, 절 뒤의 동굴에서 샘물이 흘러나오는데, 사계절 끊이지 않고 나오는 영험한 샘으로 알려져 있다.
⇩ 영천암의 곁에서 절의 오랜 역사와 함께한 듯 싶은 나이를 측정할 수 없는 괴목...
⇩ 스님 한둘 정도는 머물법도 하건만 영천암의 대문은 굳게 닫혀있다. 절의 뜰에 있는 감나무 밑에는 꽤나 멀리서 올라온 듯 싶은 동네 꼬마 녀석들이 감을 따먹느라 정신이 없다.
⇩ 영천암을 뒤로하고 계류를 따라 20분쯤 내려서면 거대한 은행나무가 어서오라 손짓하고, 아치형 나무다리 건너에 영천암과 같은 해에 창건되었다는 고찰 보석사가 보인다.
보석사(전통사찰 제5호)는 신라 헌강왕(886년) 때 祖丘大師가 창건한 절로서 마곡사의 말사이다. 처음 세울 당시 절 앞에서 캐낸 金으로 지었다고 해서 보석사라 불렀단다. 문화재로는 유형문화재 제143호인 대웅전이 있으며, 대웅전 앞에는 의승장 영규대사가 머물렀다는 의선각이 있다.
⇩ 보석사의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65호)
보석사 입구에 있으며 수령은 약 1천년 이상된 것으로 추정, 조구대사가 보석사 창건 무렵(886년) 제자와 함께 심었다고 전해지며, 근동 마을이나 나라에 재앙이 있을 때 운다고 해서, 마을의 수호신으로 전해지고 있단다.
⇩ 보석사 앞의 전나무 숲길... 200m정도로 짧지만 알찬 길이다. 은행나무만큼이나 나이를 먹은 듯, 하늘을 향해 거대하게 솟구치고 있다. 이 길의 끄트머리에 보석사 주차장이 있다.
작은 소홀
이것이 별것 아니겠지. 이렇게 생각하며 조그만 악이라도 소홀이 말라, 저 물방울이 모이고 모여 마침내 큰 항아리를 가득 채우듯... 어리석은 이는 조그만 악을 소홀히 하여 그 결과로 마침내는 큰 재앙을 불러들인다.
'산이야기(충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에 있는 멋진 바위산, 천보산-천덕산('10.8.21) (0) | 2010.08.27 |
---|---|
덕숭총림을 품고 있는 작지만 큰 산, 덕숭산('10.4.24) (0) | 2010.04.27 |
입장료를 안내서 즐거웠던 계룡산('09.12.12) (0) | 2009.12.16 |
황금산과 아름다운 주상절리 해안선('09.12.6) (0) | 2009.12.08 |
월성봉 - 바랑산(대둔산 지역)의 가을풍경('09.10.24) (0) | 2009.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