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 : 계림(中國)

 

여행일 : ‘14. 11. 27() - 12.1()

일 정 :

11.28() : 천문산트레킹(선착장-전망대-천등-일선천-약초밭-산장, 2시간), 팔각채드레킹(주차장-용등-전망대-천교-일선천-팔각채 정상-주차장, 3시간30)

11.29() : 어강 선상유람(죽강양삭, 4시간), 서가재래시장, 은자암동굴, ‘인삼유삼저관람

11.20() : 요산, 천산, 양강사호(주간 : 삼호, 야간 : 용호), ‘이강몽환쇼관람

 

첫날 오후 : 단하지형이 만들어낸 신비로운 경관, 팔각채(八角寨)

 

특징 : 랑산은 붉은색 사암이 오랜 세월 풍화와 침식을 겪으면서 절벽과 협곡이 형성된 단하 지형으로, 기이한 형상의 봉우리들이 한데 어우러져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낸다. ‘계림산수는 천하 으뜸이고, 랑산산수는 계림을 초월한다.’는 말이 생겨난 이유이다. 랑산은 면적 108에 자하동, 부이강, 랄초봉, 천일항, 천생교, 팔각채 등의 경구로 이루어졌다. 그 중 팔각채(八角寨818m)가 가장 뛰어나다고 보면 된다. 하늘 위에서 보면 정상의 모양이 팔각형처럼 보인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팔각채는 천문산에서 40여분 거리로 자원현(資源縣 즈왠)에서 북동쪽으로 약 45km 떨어져있다. 천문산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돌 색깔이 붉은 색을 띄고 산모양이 달팽이 모양이다. 이런 모양의 산은 좀처럼 보기 힘든 특이한 모습인데 이런 봉우리가 수도 셀 수 없이 솟아있다. 입구에서 보면 까맣게 올려다 보이는 능선 등이 고소공포증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위압적이지만 막상 올라가보면 양쪽에 난간과 돌계단이 잘 설치되어 있어 생각보다는 무섭지 않다. 편한 마음으로 트레킹을 즐기기만 하면 된다는 얘기이다.

 

들머리에 세외도원 팔각채(世外桃園 八角寨)’라는 간판과 함께 군라관천(群螺觀天)이라고 적힌 다른 안내판이 세워져 있다. 그만큼 이곳이 이상향에 가까울 정도로 아름답다는 얘기가 아니겠는가. 그리고 이곳의 봉우리들은 그 생김새가 소라가 하늘을 바라보는 형상이란다. 얼마나 기이하겠는가. 인간세상에서는 가히 보기 힘든 경관이라는 것을 내세우며 세외도원이라는 표현을 썼을 것이다.

 

 

 

트레킹은 흙길로 시작된다. 눈을 두는 곳마다 온통 바위뿐인데 흙길이라니 의외이다. 그러나 그게 무에 대수이겠는가. 트레킹을 시작하기도 전부터 중국의 40번째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단하(丹霞)지형의 색다른 풍경들이 펼쳐지는데 말이다. 수많은 봉우리들이 마치 소라가 거꾸로 서있는 것처럼 솟아 있다. 아까 입구에서 보았던 안내판이 가슴에 와 닿는 순간이다.

 

 

색다른 풍경에 푹 빠져 걷다보면 용척능선의 오른편 골짜기로 들어가게 되고, 이어서 울창한 대나무 숲을 통과하면 산길은 ‘U을 하듯 돌아 절벽아래를 지난다. 드디어 바윗길이 시작된 것이다. 바윗길은 돌계단으로 시작된다. 길을 아예 바위를 파서 만들었다. 입이 벌어질 따름이다. 일일이 정으로 쪼아가며 길을 내었을 그들의 노력이 상상되었기 때문이다. 중국의 산에 오를 때마다 느낀 점이지만 아무튼 그들이 산에 쏟아 붓는 정성은 참으로 대단한 것 같다.

 

 

돌계단을 잠시 오르면 조망하기 좋은 장소가 나타난다. 지도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군라관경대(群螺观景台)란다. 소라의 무리를 구경하는 곳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은 아니다. 제대로 된 소라 모양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얘기이다. 대신 하늘로 치솟는 형상의 수많은 봉우리들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풍광(風光)들은 실컷 조망(眺望)할 수 있다.

 

 

군라경관대를 지나면 이번에는 용척능선(龙脊 Dragon rigde)이다. 용척(龙脊)이란 용()의 등뼈를 말한다. 용의 등처럼 양쪽이 절벽을 이룬 육중한 바위능선이다. 그 능선의 한가운데에 홈을 파서 계단을 만들었다. 멀리서보면 살이 떨릴 정도로 무섭게 보이지만 막상 올라보면 생각보다 위험하지 않다. 계단이 제법 너른데다 또한 길 양쪽에 난간까지 만들어 놓았기 때문이다. 하긴 길에서는 양쪽의 벼랑이 보이지도 않는다. 무서움을 느낄 필요조차 없는 것이다.

 

 

 

 

능선은 중간에 정자(亭子)까지 지어놓았다. 잠시 걸음을 멈추고 사방으로 펼쳐지는 풍경을 감상하라는 의미일 것이다. 하긴 이렇게 경치 좋은 곳에서 발걸음을 서두를 이유는 없다. 잠깐이나마 망중한을 즐겨본다. 물론 눈은 호사(豪奢)를 누리게 된다. 아까 들머리의 안내판에서 보았던 군라관천(群螺观天), 즉 소라가 하늘을 보는 형상의 수많은 암봉들이 널따랗게 펼쳐진다. 한마디로 장관이다. 이는 나 혼자만의 느낌은 아닌 모양이다. 다들 탄성을 지르고 있는 것을 보면 말이다.

 

 

 

수백만 년 전 랑산 지역은 내륙(內陸)의 호수(湖水)였다고 한다. 그러던 것이 지각변동(地殼變動)으로 인해 호수의 밑바닥이 돌기하여 붉은색 모래암석 봉우리가 우후죽순 지상으로 올라오며 지금과 같은 단하지모(丹霞地貌)의 풍경을 만들어냈다는 것이다. '단하'란 붉은 노을을 뜻하고 '지모'는 땅의 모양새를 일컫는다. 공인된 학술용어가 아닌 중국인들이 자의적으로 만들어 부르는 명칭이란다. 그나저나 단하지모의 경치는 보는 사람들의 넋을 빼앗기에 충분하다. 그런 경치에 반한 어느 시인은 '계림 산수는 천하 으뜸이고, 랑산 산수는 계림을 초월하더라.'는 시구(詩句)를 남겼고 말이다.

 

 

용척능선을 지나면 낡은 건물이 있는 삼거리가 나온다. 진행방향은 이곳에서 오른편이다. 그렇다고 왼편으로 들어가 보는 일을 걸러서는 안 된다. 그곳에 또 하나의 멋진 전망대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둘러보고 난 뒤에는 다시 이곳으로 되돌아 나와야 한다.

 

 

왼편으로 방향을 잡아 조금만 더 들어가면 전망대가 나타난다. 팔각채관경대(八角寨观景台)란다. 난간에 서면 다시 한 번 군라관천이 펼쳐진다. 왼편의 용척 뒤로 나타나는 것은 아마 팔각채 정상일 것이다. 뭔가를 찾아 눈을 치켜 떠본다. 이곳에서 루안석(泪眼石 Tearful-eye stone)의 조망이 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어서이다. 그러나 아쉽게도 찾을 수는 없었다. 연무(煙霧) 때문에 가시거리가 길지 못한 탓일 것이다. 바위가 눈물을 흘리고 있는 형상이라는 루안석(泪眼石)을 볼 기회는 다음으로 미룰 수밖에 없다. 그런 기회가 다시 올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토끼의 귀 같은 계림의 산봉우리와는 달리 이곳 팔각채의 바위 봉우리들은 흙이 있는 곳에만 나무가 자란다. 마치 낙타의 등을 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저런 형상을 보고 어떤 이들은 등에 자기 집을 얹고 사는 달팽이를 닮았다고도 한다. 달팽이 무리가 하늘을 우러르는 형상이라는 것이다. 하긴 머리 부분을 제외하면 풀 한포기 나지 않은 바위 봉우리의 무늬결이 빙빙 돌아 올라가는 달팽이집을 빼다 닮았다.

 

 

 

 

 

삼거리로 되돌아와 트레킹을 이어간다. 거대한 암봉 아래를 지나면 산길은 암봉의 옆구리를 따라 이어진다. 강용잔도(降龙棧道, Dragon-subduing Roadway)라고 불리는 구간이다. 길은 절벽의 생김새를 기반으로 절묘하게 연결된다. 기존의 굴()이나 반반한 지반(地盤) 등에다 새로운 굴이나 길을 보완해서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중국의 험산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풍경이다. 물론 왼편은 밑바닥이 내다보이지 않을 정도로 깊은 협곡(峽谷), 생각만 해도 소름이 돋을 정도다. 이런 걸 두고 천애절벽(天涯絶壁)이라고 부를 것이다.

 

 

 

길은 가다가 다리를 만들기도 한다. 천교(天橋)라 불리는 나무다리이다. 다리의 아래는 수천 길의 협곡이 펼쳐진다. 생사곡(生死谷 Hadean Valley)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다. 아래를 내려다볼 엄두를 낼수 없을 정도로 깊으니 가히 그런 이름을 얻을 만도 하겠다. 그런데 이 다리는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지나갈 경우에는 위험할 수도 있는 모양이다. 다행히 지금은 우리 부부뿐이지만 말이다. 아무튼 위로는 둥근 천장이 하늘을 가리고 있고 아래는 밑굽이 보이지 않는 심연이다. 용잡이 잔도의 험요함과 위태로움은 대자연의 걸출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는 안내문과 같이 가슴 떨리는 걸음걸음이 계속된다.

 

 

 

붉은 빛이 감도는 거대한 바위 벼랑의 허리춤에 좁은 길이 수평으로 나 있다. 길 아래 계곡은 바닥이 깊어 보이지 않을 정도다. 바위 벼랑 곳곳에는 얕고 커다란 구멍이 숭숭 뚫려 있다. 이들 구멍에는 옛날 부근에 살던 묘족(苗族)들이 시신(屍身)을 놓아두기도 했다고 한다.

 

 

 

가슴 졸이며 강용잔도를 지나면 이번에는 대나무 숲이 짧게 이어지고 이어서 천년고찰(千年古刹)이라고 적혀있는 허름한 건물이 나타난다. 강용암(降龙庵)이라는 사찰(寺刹)인데 외형만으로 볼 때에는 절집이라기보다는 차라리 여염집의 느낌이 더 강하다. 우리가 늘 보아오던 절집의 풍경과 다른 모습이기 때문인 모양이다. 관음전 옆에 매점이 있으나 비수기인지 문을 열고 있지 않았다. 옛날에는 매화네 쉼터라는 어엿한 한글 이름을 갖고 있었다고 한다.

 

 

 

 

강용암에서 왼편으로 가면 팔각채(八角寨)’라는 이름표를 달고 있는 대문이 나온다. 대문을 들어서면 거대한 암봉 두 개가 서로 맞대고 있는 것이 보인다. 길은 그 사이로 나있다. 이곳이 하늘을 향해 쳐다보면 자 형으로 나타난다는 인자일선천(人字一線天)’이란다. 그러나 소문과는 달리 그 풍광은 썩 뛰어난 편은 아니다. 암벽(巖壁)이 무너져 내린 것 같은 협곡(峽谷)은 자칫 위태롭게 보이기까지 한다. 거기다 길을 내느라 별 수 없었겠지만 자연경관이 파괴된 느낌까지 들 정도이다.

 

 

 

 

 

 

인자일선천을 빠져나간다. 계단을 따라 지능선 위로 올라선 뒤 숲속으로 잠시 내려가면 정자(亭子)와 매점(이곳도 역시 문을 열지 않았다)이 있는 삼거리가 나온다. 왼쪽은 팔각채 정상으로 가는 길이고 오른쪽은 주차장으로 곧장 내려가는 길이다. 물론 왼편 팔각채 정상으로 향한다. 그러나 집사람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은 그냥 하산을 서두른다. 비가 오기 직전이라서 조망(眺望)을 기대할 수 없다면서 말이다. 하긴 20~30m 앞도 제대로 볼 수가 없으니 저 위에 있다는 관경대(观景台)는 있으나 마나일 것이다.

 

 

 

팔각채 정상으로 향하는 길은 계단으로 시작된다. 그 계단은 끝없이 이어지고 또한 생각보다 가파른 편이다. 5분쯤 오르면 육각정자(六角亭子)가 나타나나 그냥 지나치기로 한다. 짙게 낀 구름 때문에 아무것도 볼 수가 없기에 멈추어야할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론 삼거리에서 곧바로 하산을 하고 있는 다른 일행들과 보조를 맞추어보려는 마음 또한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정자를 지나서 얼마쯤 더 오르니 허름한 매점이 나오면서 길이 두 갈래로 나뉜다. 이곳에서 오른편은 호남성 신녕현 랑산풍경구(湖南省 新寧縣 崀山風景區)로 이어지는 길이다. 호남성에서는 팔각채를 랑산(崀山)이라 부른다고 한다. 가이드가 절대 내려가지 말라는 길이다. ()이 다르기 때문에 또 다른 통행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것이다. 하여간 이곳 갈림길 부근은 조망이 끝내준다고 알려져 있다. 절벽 위에 자리 잡은 운대사가 한눈에 들어온다는 것이다. 그 형상이 마치 바위벼랑에 지은 제비집을 닮았단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금은 시계(視界)가 제로다. 짙게 낀 구름 때문에 아무것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 다는 얘기이다.

 

 

 

삼거리에서 몇 걸음만 더 걸으며 바위문(石門)이 나온다. 팔각채고채문(八角寨古寨门)이다. 팔각채의 옛 문으로 길이(곁에 벽에 대한 안내판이 세워져 있는 것을 보아 벽의 길이를 말하는 것일 게다)5미터 높이에 두께가 8미터에 달해 난공불락(難攻不落)의 요새를 만드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이다. 안내판에 ‘1명이 지킬 경우 능히 1천명을 막아낼 수 있다고 적혀있으니 믿어도 좋을 듯 싶다.

 

 

석문을 통과하여 계단을 잠시 오르면 또 다시 삼거리를 만난다. 이곳에서 왼쪽은 천궁사를 거쳐 정상으로 가는 길이고 오른쪽은 운대사를 거쳐 정상으로 가는 길이다. 어느 길로 가던지 정상으로 가게 되니 마음 내키는 대로 진행하면 될 일이다.

 

 

 

왼편 전궁사로 향한다. 잠시 후에 허름한 절집을 만난다. 간판이 없어 알 수는 없으나 아마 천궁사인 모양이다. 안에 모셔진 불상이 아니라면 여염집으로 오해하기 딱 좋은 외형이다. 아니 붉은색으로 도배되다시피 한 것이 무당집에 더 가깝다. 절간에는 십여 명의 사람들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뭔가를 준비하고 있는 모양이다.

 

 

 

절간 주변의 지저분함에 질려 곧장 지나쳐버린다. 물론 오른편 방향이다. 가는 길도 어수선하기는 매일반이다. 숲속엔 무너져가는 건물이 그대로 방치되고 있고, 길가 또한 쓰레기가 많이 널려있다. 주위 풍경에 혀를 차며 걷다보면 잠시 후에는 팔각채 정상에 이르게 된다.

 

 

정상에는 주관경대(主观景台)라는 전망대가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안내판에는 경어료해, 단하봉총봉림(鲸鱼闹海, 丹霞峰丛峰林)’이라고 쓰여 있다. 이곳에서 바라보는 경관을 설명한 내용일 것이다. 그 뜻은 단하봉들이 모여 숲을 이루고 있는 것이 마치 바다에 고래가 어지러울 정도로 많이 몰려있는 형상일 것이고 말이다. 그러나 지금은 몇 미터 앞도 안보일 정도로 구름이 짙다. 그렇게나 멋지다는 경관을 볼 수가 없다는 얘기이다. 그러나 하늘이 도와주지 않으니 어쩌겠는가. 안내판의 그림으로 위안을 삼으며 발길을 돌린다. 이곳에서 조금만 내려가면 만날 수 있다는 선인하기(仙人下棋) 전망대를 둘러보는 것을 포기했음은 물론이다.

 

 

 

정상에서 조금만 더 내려오면 운대사(雲臺寺)를 만난다. 절 안으로 들어가 보는 것을 포기하고 그냥 하산을 서두른다. 안으로 들어가 봐야 그게 그거일 것 같아서이지만, 그보다는 지금 삼거리에서 기다리고 있을 집사람을 생각해서이다. 위험한 곳에 남편을 혼자 보내놓고 혼자서 가슴을 졸이고 있을 집사람의 모습이 생생했기 때문이다.

 

 

삼거리로 되돌아와 하산을 서두른다. 이후부터는 특별한 볼거리가 없다. 무료해질 수도 있는 구간이다. 그러나 다행인 것은 그 거리가 짧다는 것이다. 완만한 경사의 계단을 따라 내려가다 보면 민가가 보이고, 이어서 잠시 후에는 주차장에 이르게 되면서 팔각채의 트레킹이 종료된다. 참고로 붉은색 사력암(砂礫岩) 경승지인 중국의 단하(丹霞) 지형은 2010, 중국에서 40번째로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단하(丹霞)란 중국 광동성 단하산(廣東省 丹霞山)을 포함해 귀주성 적수(贵州省 赤水), 복건성 태녕(福建省 泰宁), 호남성 랑산(湖南省 崀山), 강서성 용호산(江西省 龙虎山-龟峰 포함), 절강성(浙江省 江郞山) 등으로 중생대 쥐라기부터 신생대 제3기까지 형성된 붉은색 사력암(砂礫岩)으로 이뤄진 단하지형을 일컫는다. 그중의 하나가 오늘 보았던 호남성 랑산(湖南省 崀山), 즉 광서장족자치구의 팔각채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