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령산(胎嶺山, 400m)-만뢰산(萬賴山, 611.7m)

 

여행일 : ‘17. 2. 18()

소재지 : 충북 진천군 친천읍·백곡면과 충남 천안시 병천면의 경계

산행코스 : 주차장김유신장군탄생지국궁장태실(태령산)생태공원갈림길쥐눈이고개갈미봉만뢰산보탑사주차장(산행시간 : 3시간 50)

 

함께한 사람들 : 가보기산악회


특징 : 진천은 삼국통일의 주역인 김유신 장군의 고향이다. 김유신 장군은 595년 진천읍 상계리 계양마을에서 태어나 15세에 화랑이 됐다. 삼국이 통일하는 데 가장 큰 업적을 남긴 명장으로 673년 숨을 거뒀다. 그의 고향답게 진천은 김유신 관련 유적지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16곳에 달한다. 그중 김유신의 탄생지와 태실, 그리고 그의 아버지인 서현이 쌓았다는 만노산성 등이 위치한 곳이 바로 만뢰산과 태령산 자락이다. 때문에 오늘 산행은 등산로를 따라 걷는 도중에 자연스럽게 그와 관련된 유적지(遺蹟地)들을 둘러보는 셈이 된다. 아무튼 두 산은 전형적인 육산(肉山)이다. 바위다운 바위 하나 구경할 수 없으니 뚜렷한 볼거리가 없음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태령산과 만뢰산 정상 어림을 제외하고는 조망(眺望) 또한 별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산은 꼭 찾아봐야 할 산으로 꼽고 싶다. (보탑사)과 산(만뢰산과 태령산), 그리고 삼국통일을 이룩한 김유신의 생가가 있어서 여가와 휴식, 그리고 적당한 운동까지 함께 즐길 수 있기 때문이다. 거기에 종교적인 여운과 역사의 아취(雅趣)까지 더불어 느낄 수 있으니 이보다 더 좋은 코스가 어디에 있겠는가.

 

산행들머리는 김유신장군탄생지 주차장(진천군 진천읍 상계리 18)

중부고속도로 진천 I.C에서 내려와 21번 국도를 타고 옥천 방면으로 진행한다. 진천읍 시가지를 통과하니 참조한다. 21번 국도 상의 보탑사삼거리(진천읍 자암리)에서 오른편 김유신길로 들어서면 잠시 후에 산행들머리인 김유신장군탄생지의 주차장에 이르게 된다. 참 잊을 뻔했다. 보탑사삼거리에서 길 찾기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이다. 오른편에 김유신길 말고도 313번 지방도가 나뉘는데 지방도가 훨씬 더 좋으니 주의해서 진행해야 한다.




주차장에서 조금만 더 올라가면 김유신(金庾信) 탄생지가 나온다. 이곳과 태실을 한데 묶어 사적 제414호로 지정해 놓았으니 참조한다. 김유신은 가락국 시조인 김수로왕의 13세손이다. 만노군(진천의 옛 이름) 태수인 김서현장군의 아들로 진평왕 17(595) 진천읍 상계리 계양마을에서 출생하였다. 나이 15세 되던 609(진평왕 31)에 화랑이 되고 낭비성 싸움에 공을 세워 압량주 군주가 되었다. 선덕여왕 때 상장군, 무열왕 7(660) 상대등이 되어 당군과 연합하여 백제를 멸망시킨 후 나당연합군의 대총관이 되어 고구려를 정벌(668)하고 태대각간이 되었으며 한강 이북의 고구려 땅을 다시 찾아 삼국 통일의 대업을 완수하여 흥무대왕(興武大王)으로 추봉되었다. 참고로 인근 주민들은 이곳을 '담안밭'이라 부른다고 한다. '담안밭''담 안의 밭'을 줄인 말이란다. 옛날 이곳은 태수의 사택이었다. 당연히 사방이 담으로 둘러싸여 있었을 것이다. 건물이 무너진 후 집터는 농작물이 심어진 밭으로 변했을 게 뻔하다. ‘담안밭이라는 이름을 얻게 된 연유일 듯 싶다.



유적지의 왼편에는 네 칸짜리 기와집 한 채가 지어져 있다. 만노군 태수 김서현의 관저에 김유신의 생가를 복원해 놓은 것이란다. 김유신은 이곳 진천이 만노군(萬勞郡)이었던 시절, 태수 김서현(金敍玄)과 만명(萬明)부인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595(신라 진평왕 17)이다. 김서현은 원래 가야국의 사람으로 신라에 들어와 왕족의 딸인 만명과 눈이 맞았다. 그러다가 신라 조정이 김서현을 3국의 각축장인 변방의 진천태수로 보내자, 그 둘이 야합하여 이곳으로 와 낳은 아들이 바로 김유신인 것이다. 참고로 삼국사기 열전 제1<김유신> 편을 소개해 본다. <처음 서현이 갈문왕 입종의 아들인 숙흘종의 딸 만명을 보았을 때 내심으로 기뻐하여 그녀에게 눈짓하여 중매도 없이 야합하였다. 서현이 만노군(현재의 진천군) 태수가 되었을 때 만명과 함께 가려하니 숙흘종이 비로소 딸이 서현과 야합한 사실을 알고 그녀를 미워하여 별채에 가두고 사람을 두어 지키도록 하였다. 그러던 중 갑자기 대문에 벼락이 쳐서 지키던 사람이 놀라 정신을 차리지 못했을 때 만명이 창문으로 나와 마침내 서현과 함께 만노군으로 갔다.> 또 다시 삼국사기를 들여다보자. 그가 태어날 때의 태몽(胎夢)도 남다른 데가 있었다고 전하고 있다. <서현은 경진일 밤에 화성과 토성 두 별이 자기에게 내려오는 꿈을 꾸었고 만명도 역시 신축일 밤에 동자가 금으로 만든 갑옷을 입고 구름을 타고 집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이를 잉태하여 스무 달 만에 유신을 낳았다. 김유신의 이름을 유신이라고 한 것은 서현이 경진일 밤에 태몽을 꾸어 유신을 얻었기 때문이었다. 서현은 날짜로 이름을 지을 수 없다고 하고 경진의 경()자와 자형이 비슷한 유()자와 진()자와 비슷한 신()자로 이름을 지어 유신이라고 하였다.> 



유적지 입구에 서서 정면을 바라보면 비각(碑閣) 하나가 오른편에 자리하고 있다. 비각 안에는 유허비(遺墟碑)가 세워져 있다. 물론 김유신 장군의 자취를 기리기 위해 세운 것이다. 하지만 비각의 이전공사가 한창이어서 자세히 살펴 볼 수는 없었다. 대신 비각의 뒤편에 세워진 김유신 탄생지와 태실안내판을 읽어보기로 한다. 김유신 장군의 일생을 간략하게 나열하고, 생가(生家)와 연보정, 태실 등 김유신장군 관련 유적이 '국가사적 414'라는 사실을 적어 놓았다.



유적지의 오른편 귀퉁이, 그러니까 유허비 비각(遺墟碑 碑閣)‘의 뒤편에서 산행을 시작한다. 들머리에 산행안내도가 세워져 있으니 한번쯤 살펴보고 출발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길 찾기에 많은 도움이 될 테니까 말이다. 아무튼 몇 걸음 걷지 않아 연보정김유신 태실로 가는 방향을 표시해 놓은 이정표를 만난다면 제대로 길을 들어섰다고 보면 된다.



7~8분쯤 올라서자 시멘트로 지어진 커다란 기와집 한 채가 나타난다. 국궁인(國弓人)들이 심신을 달련하는 곳으로 화랑정(花郞亭)이라는 편액을 달고 있다. 요 아래가 김유신장군 탄생지인 걸로 보아 그의 화랑정신을 이어받는 다는 의미로 지은 게 아닐까 싶다. <삼국사기> 중 진흥왕 37(576)의 기록을 보자. 화랑들은 '도덕과 의리로 서로를 연마했고(相磨以道義), 노래와 음악을 즐겼으며(相悅以歌樂), 산과 물에서 노닐고 즐겨(遊娛山水) 먼 곳 어디든 가지 아니한 곳이 없었다(無遠不至).' 그래서 김대문의 <화랑세기>'어질고 충성스러운 신하가 여기서 선발되었고(賢佐忠臣 從此而秀),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졸도 여기서 나왔다(良將勇卒 由是而生)'고 하였다. 그런 정신으로 활을 쏜다면 어찌 백발백중(百發百中)이 아니겠는가. 이번에는 이 화랑정과 이 위에 있는 연보정을 한번 연결시켜 보자. 지금 시대의 궁수(弓手)들이 한바탕 시위를 날린 후 시원한 냉수로 갈증을 풀듯이, 어쩌면 만노군 시절을 살았던 신라의 병사들도 연보정의 샘물을 떠 마시며 타는 목마름을 해소했을 것이다.




국궁장에서 조금 더 올라서자 삼거리(이정표 : 태실1.0Km/ 연보정)가 나온다. 김유신 장군의 태실로 가려면 곧장 산자락으로 들어서야 한다. 하지만 오른편에 있는 연보정(蓮寶井)에 들러볼 것을 권한다. 1천년을 넘길 정도로 오래된 우물터이니 달라도 뭔가 다르지 않겠는가.



50m쯤 들어가자 연보정(蓮寶井)이 나온다. 만노군 관아(官衙)에서 쓰던 우물이라고 전해지는데, 그렇다면 김유신 또한 이 우물을 사용했음은 자명한 일일 것이다. 연보정은 자연석을 이용하여 둥글게 돌려 쌓았으며, 그 규모는 직경이 1.8m이고 최대 높이는 2.6m이다. 앞면에 우물로 내려갈 수 있도록 계단을 설치하였고, 4m가량의 수로를 설치하여 물이 흐르도록 한 특이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태령산 중턱에서 샘솟는 지하수라서 예전에는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았다고 하나 지금은 거의 말라 있다시피 하다. 물이 고여 있을 뿐 넘쳐흐르지는 않는다는 얘기이다. 아무튼 우물 옆에 안내판이 세워져 있으니 한번쯤 읽어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



삼거리로 되돌아와 산행을 이어간다. 100m쯤 더 올라가자 이정표(태실 0.9Km)가 나타난다. 이정표의 뒤편으로도 희미하나마 길의 흔적이 보이나 무시한다. 잠시 후 산길은 오른편으로 살짝 방향을 틀면서 지능선 위로 올라선다.




산은 공들여 가꾼 흔적들이 역력하다. 조금만 경사(傾斜)가 심하다 싶으면 어김없이 계단을 놓았다. 그것도 참나무 토막을 손질도 하지 않은 채로 깔아 자연친화적으로 가꾸었다. 그것으로도 부족하다 싶은 곳에는 안전로프를 매어 놓았다. 고생했을 진청군청 관계자분들께 글로써나마 감사를 드려본다.



자연친화적인 가꿈은 벤치에서도 나타난다. 이것도 역시 다듬지 않은 참나무 토막을 이용해서 만들었기 때문이다.



산길은 지능선을 만나면서 상당히 가팔라진다. 어린 김유신은 화랑이 될 뜻을 품었을 것이다. 그리고 체력단련 등 그의 뜻을 이루기 위한 사전준비를 철저히 했을 것이다. 옛날에는 체력단련이라고 해봐야 그저 걷고, 뛰고, 달렸을 것이다. 산이 나타나면 넘어야 하고, 물을 만나면 건너야 하는 것이 화랑의 '자세'였기 때문이다. 지금 오르고 있는 이 길 또한 그가 뛰어다녔던 길이 아닐까 싶다. 그렇다면 나도 힘을 내보자. 그와 같이 뛰지는 못할망정 어기적거리며 오를 수야 없지 않겠는가.




주변은 온통 참나무들 세상이다. 그 덕분에 잎이 다 져버린 빈 나뭇가지 사이로 시야(視野)가 열린다. 그리고 연곡계곡의 상류에 자리 잡은 연곡저수지가 살짝 고개를 내민다. 이러한 눈요기는 겨울산행 만이 누릴 수 있는 특권이 아닐까 싶다. 잎이 무성한 여름철이라면 어찌 이런 호사를 누릴 수가 있겠는가.



진행방향에 바위벼랑이 나타나자 산길은 이를 피해 오른편으로 방향을 튼다. 이어서 통나무계단과의 힘겨루기가 끝나면 이윽고 능선안부에 있는 삼거리(이정표 : 태령산(태실)0.25Km/ 보탑사7.56Km, 만뢰산 정상 4.97Km, 자연생태공원 1.82Km/ 김유신 탄생지1.0Km)에 올라선다.



오른편으로 방향을 튼다. 김유신의 태()가 묻혀있다는 태실이 이곳에서 200m쯤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락국 후예인 서현과 서라벌 공주인 만명의 사랑 이야기는 마치 한 편의 소설 같다. 오로지 한 남자만 믿고 떠날 수 있었던 만명공주의 용기는 결국 김유신이라는 위대한 결실을 맺는다. 그들이 만들어낸 사랑이야기를 떠올리며 걷는다. 그리고 옆에서 함께 걷고 있는 집사람에게서 만명공주의 용기를 찾아낸다. 산행 중 다친 손목 때문에 꼼짝을 못하다가 4개월 만에야 겨우 따라나선 산행이니 집사람 역시 많은 용기가 필요했을 것이다.



능선을 따라 5분쯤 걷자 김유신장군의 태실(胎室)이 나타난다. 태실은 태어날 때 나온 태를 따로 보관한 시설을 말한다. 김유신의 태실은 자연석으로 둥글게 기단을 쌓고, 봉토(封土)를 마련하였으며, 태령산 꼭대기를 따라 돌담을 산성처럼 쌓아 신성(神聖)한 구역임을 표시하였다. 이 태실은 <삼국사기(三國史記)>와 역대의 지리지에 김유신의 태를 묻은 곳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지금 남아 있는 태실 가운데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태실 축조의 형식을 가진 것으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참고로 이곳은 태령산(胎嶺山)이라는 다른 이름으로도 불린다. 김유신의 태()를 묻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정상에서의 조망(眺望)은 괜찮은 편이다. 남동쪽으로 시야가 열리면서 문백면 일대의 들녘이 한눈에 쏙 들어온다. 산릉(山陵)의 사이에 비집고 들어앉았지만 산악지형의 비중이 높은 충북지역임을 감안해보면 엄청 넓다고 볼 수도 있겠다.



삼거리로 되돌아와 만뢰산으로 향한다. 태령산을 출발한지 20분쯤 되면 이정표(보탑사 7.03Km, 만뢰산 정상 4.44Km, 자연생태공원 1.29Km/ 태령산(태실) 0.78Km, 김유신 탄생지 1.29Km) 하나를 만난다. 출발지와 도착지를 김유신 탄생지와 보탑사로 표기하고 있다. 거리는 8.32Km란다. 이후에 만나는 이정표들도 모두가 이런 골격을 유지하고 있다. 얼마쯤 왔고, 또 얼마쯤 더 걸으면 산행이 끝나게 되는지를 알 수가 있으니 산행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아무튼 산길은 이곳에서 오른편으로 방향을 튼다. 이정표 뒤로도 산길의 흔적이 보이나 어디로 연결되는지는 모르겠다.




방향을 튼 산길이 가파르게 변한다. 거기다 미끄럽기 짝이 없는 눈길이다. 등산객들이 오가며 다져놓은 눈이 꽁꽁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이런 곳에서는 그저 조심하는 수밖에 없다. 내려가는 사람들 모두가 누구 할 것 없이 기다시피 하면서 내려가고 있다.



바닥에 떨어진 산길은 이후부터는 작은 오르내림을 반복하면서 이어진다. 수월하게 산행을 이어갈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렇게 13분 정도를 더 진행하면 또 다른 이정표(보탑사 6.49Km, 만뢰산 정상 3.9Km, 자연생태공원 0.75Km/ 태령산(태실) 1.32Km, 김유신 탄생지 2.07Km)를 만난다.



그리고 14분 후에는 자연생태공원 갈림길’(이정표 : 보탑사 5.81Km, 만뢰산 정상 3.22Km/ 자연생태공원 0.07Km/ 태령산(태실) 2.0Km, 김유신 탄생지 2.75Km)에 내려선다. 혹자는 이곳을 쥐눈이고개라고도 하나 아니라는 사람들이 더 많으니 참조한다.



민가가 발아래까지 다가와 있다. 그만큼 고도(高度)를 낮추었다는 의미일 것이다. 그렇다면 이젠 고생할 일만 남았다. 내려온 만큼 다시 올라야만 하는 게 산행이니까 말이다. 사람들은 산에서 인생을 배운다.’고 말하기도 한다. 길과 흉이 한쪽으로만 치우치지 않고 번갈아 나타난다는 데서 힌트를 얻은 말일 것이다. 그게 오르내림을 반복하는 산행과 비슷하다고 느꼈을 것이고 말이다.



민가(民家)로 연결되는 고갯길을 지났다싶으면 산길은 제법 가팔라진다. 하지만 버거울 정도는 아니니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그저 아까보다 조금 더 가팔라졌다고 생각하면 될 일이다. 그렇게 30(쥐눈이고개에서) 정도를 진행하면 송전탑이 나오고, 이어서 널따란 임도에 내려서게 된다. ‘쥐눈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 고개인데, 고갯마루에는 이정표가 두 개(#1 : 보탑사 4.64Km, 만뢰산 정상 2.05Km/ 자연생태공원 1.24Km, 태령산(태실) 3.17Km, 김유신 탄생지 3.92Km, #2 : 보탑사4.63Km, 만뢰산 정상 2.04Km, 갈미봉 0.59Km/ 연곡저수지2.01Km/ 백곡 34번 국도6.49Km)나 세워져 있다.



진행방향의 나뭇가지 사이로 갈미봉이 나타난다. 뾰쪽하게 솟아오른 것이 고생깨나 하게 생겼다.



임도를 지나면서 본격적인 오름길이 시작된다. 이번에는 버겁다고 느껴질 정도로 그 가파름이 심하다. 위를 향해 곧장 치고 오르지를 않고 왔다갔다 갈지()자를 그리면서 고도(高度)를 높여간다는 점이 그나마 다행이라면 다행일 것이다. 그것도 될 수 있는 대로 폭을 넓혀 최대로 경사(傾斜)를 누그러뜨려 놓았다.



이 구간에서도 왼편으로 시야가 열린다. 잎이 져버린 빈 나뭇가지 사이로 연곡저수지를 품은 풍경화가 빼꼼히 나타났다가 사라지기를 반복한다.



그렇게 20분 정도 고생을 치루고 나면 서너 평쯤 되는 공터로 이루어진 갈미봉 정상에 올라선다. 정상표지석도 세워져 있지 않은 평범하기 짝이 없는 산봉우리이다. 그저 누군가가 이정표(보탑사4.04Km, 만뢰산 정상 1.45Km/ 백곡 구수리/ 철탑로 0.59Km, 연곡저수지 2.6Km)에다 매달아 놓은 갈미봉이라고 적힌 표지판 하나가 이곳이 갈미봉 정상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을 따름이다. 대신 이곳에는 벤치 몇 개를 놓아 쉼터를 겸하게 했다. 힘겹게 올라온 사람들을 위한 배려일 것이다.




갈미봉에서부터는 수월한 산행이 이어진다. 작은 오르내림이 대부분이고, 어쩌다 가파른 구간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부담을 느끼지 않아도 좋을 만큼 적당히 가파르다. 그렇게 18분쯤 걸으면 하수문 갈림길’(이정표 : 보탑사3.17Km, 만뢰산 정상 0.58Km/ 하수문1.52Km/ 갈미봉0.87Km, 철탑로 1.46Km)을 만난다.




이어서 잠시 후에는 잘 지어진 정자(亭子)가 나온다. ‘만뢰정이라는 편액을 달고 있는데, 잠시라도 쉬어볼 요량이라면 이곳이 적당하지 않을까 싶다. 몇 걸음만 더 떼면 만나게 되는 정상은 헬기장으로 이루어져 있어 그늘이 일절 없기 때문이다. 마침 조망(眺望)까지 툭 트이니 이보다 더 나은 쉼터가 어디 있겠는가. 조망에 대한 개관(槪觀)은 정상에서 거론하겠다.




잠시 후 만뢰산의 정상에 올라선다. 널따란 분지(盆地)로 이루어진 정상은 그 옛날 산성(山城)의 중심부였을 것이다. 이곳에 만노산성(萬弩山城)’이 있었다니까 말이다. 하지만 지금은 헬기장으로 바뀌었다. 원래 성터였으니 두루뭉술했을 터, 헬기장으로 바꾸느라 힘은 덜 들었을 것 같다. 아무튼 만노산성만노(萬弩)’란 진천의 옛 이름임을 참조한다. 김유신의 아버지인 김서현 장군이 축조했다고 전해지는데, 태뫼식으로 쌓았다는 성의 흔적은 눈에 띄지 않았다. 그저 정상에 세워진 안내판만이 이곳에 산성이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을 따름이다. 조선 성종 때 왕명에 따라 노사신(盧思愼) 등이 편찬한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김유신의 부친인 김서현 장군이 돌로 성을 쌓았는데 그 둘레가 약 3,980(1,300m)이고, 성 안에는 샘이 있었는데 지금은 없어졌다.>는 것이다. 아무튼 당시 이곳은 백제의 침입을 방어하던 신라 서북국경지대의 요충지였으며, 이곳에서 샘터와 신라시대의 기와조각이 발견됨으로써 동국여지승람의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단다.



가장 높은 곳에는 등산안내도가 세워져 있다. 어디로 내려갈지를 살피다가 눈길을 돌리면 정상표지석이 반갑게 맞는다. 검은 오석(烏石)으로 만들어진 이 정상석은 충청북도의 트레이드마크( trademark)나 다름없다. 이정표(만뢰산 정상 0.04Km/ 하수문 1.86Km/ 보련마을 2.88Km, 보탑사 2.55Km)와 삼각점(진천11, 1984재설)은 그 반대편에 자리 잡았다. 참고로 만뢰산의 원래 이름은 만노산(萬弩山) 또는 금노산(今奴山), 금노산(今弩山), 금물노산(今勿奴山) 등으로 불려왔다. 고구려시대의 지명을 따서 그대로 붙인 이름이라고 전해진다. 원래 이곳이 고구려의 영토였다는 증거일 것이다. ‘이흘산이라는 출처를 알 수 없는 또 다른 이름도 갖고 있었다니 참조한다.



정상에서의 조망(眺望)은 광활하다. 진천에서 가장 높은 산이라서 앞을 가로막는 것들이 별로 없기 때문일 것이다. 연곡저수지와 상계리가 발아래에 놓여있다. 그리고 봉암산과 작성산, 몽각산. 환희산 등 주변의 산들도 한눈에 잘 들어온다. 자세한 것은 다른 이의 글로 대체해 본다. <북쪽으로는 금북정맥의 칠현산과 서운산을 잇는 산줄기가 물결치듯 이어오고, 동쪽으로는 월악산과 속리산을 잇는 백두대간의 주능선이 아득하며, 남쪽으로는 덕유산의 하늘 마루금이 햇살에 눈이 부시는가하면, 서쪽으로는 작성산, 은석산을 잇는 작은 산 병풍 너머로 흑성산과 성거산이 뚜렷이 보인다.>



하산을 시작한다. 보탑사 방향이다. 잠시 후 이정표가 두 개나 세워진 삼거리에 이른다. 하나는 이곳까지 오면서 보아온 눈에 익은 이정표(보련마을2.35Km, 보탑사 2.02Km/ 엽돈재9.2Km/ 만뢰산 정상0.57Km)인데 반해, 다른 하나는 새로운 외형(봉황3리 마을회관2.2Km/ 돌목이고개2.0Km/ 정상0.4Km)이다. 그런데 두 이정표가 표기하고 있는 방향의 지명이 서로 다른데다 거리 또한 다르게 표기가 되어 있다. 보는 이들이 헷갈릴 수도 있으니 둘 중의 하나는 치워야 하지 않을까 싶다.



산길은 작은 오르내림을 반복하면서 서서히 고도(高度)를 낮추어간다. 하산지점인 보탑사까지의 거리가 2Km가 넘다보니 구태여 서두를 필요가 없었던 모양이다. 중간에 여러 곳에서 갈림길을 만나기도 한다. 그 첫 번째는 2분 후에 만나게 되는 봉황3리 마을회관 갈림길’(이정표 : 보탑사2.0Km/ 봉황3리 마을회관2.2Km/ 정상0.6Km)이다.



이어서 7분 후에는 보련마을 갈림길’(이정표 : 보탑사1.52Km/ 보련마을1.85Km/ 만뢰산 정상1.07Km)을 만난다. 이곳에서 왼쪽으로 내려가면 보련마을에 이르게 된다. 연꽃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인 보련(寶蓮)이란 마을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이 마을은 연꽃 보존마을로 지정된 곳이다. 7~8월에 이 마을을 방문할 경우 하얗게 만개한 연꽃들이 눈을 즐겁게 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름밤에는 깨끗한 환경에서만 산다는 반딧불이도 볼 수 있단다. 그런 볼거리들을 찾아오는 관광객을 위해 두부 만들기와 짚풀 공예, 활쏘기, 전통 떡 만들기, 천연비누 만들기, 다도 체험 등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니 한번쯤 찾아볼 일이다. 마침 마을에서 공동으로 운영하는 연잎식당에서 제공한다는 연꽃 정식도 먹어볼 겸해서 말이다. 연잎으로 싸서 찐 밥과 맑고 개운한 연잎차를 맛볼 수 있는 기회가 어디 그리 흔하겠는가.



갈림길은 다시 한 번 나타난다. 9분쯤 지나서 나타나는데 이번에는 보탑사로 가는 길(이정표 : 보탑사1.02Km/ 보탑사1.3Km/ 만뢰산 정상1.57Km)이 양쪽으로 나뉘는 게 특징이다. 어디로 가더라도 보탑사에 이르게 되지만 이곳에서는 왼쪽 방향으로 진행한다.



잠시 후 산길은 능선을 벗어나 오른편(이정표 : 보탑사0.76Km/ 만뢰산 정상1.83Km)으로 내려선다. 산행이 마무리되는 보탑사가 코앞이라는 증거일 것이다.



산길은 능선을 벗어나서도 여전히 곱다. 보드라운 흙길에다 경사까지 급하지 않은 것이다. 아니 차라리 더 좋아졌다고 하는 게 옳은 표현일 것 같다. 하늘 높을 줄을 모르고 솟아오른 낙엽송(일본이깔나무) 숲속으로 산길이 나있기 때문이다. 자잘한 침엽수들이 수북이 쌓인 바닥이 마치 양탄자를 걷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로 폭신폭신하기 그지없다.



산행날머리는 보탑사

15분쯤 내려섰을까 진행방향 저만큼에 보탑사가 얼굴을 내민다. 이쯤에서 오늘 산행이 종료됐다고 보면 되겠다. 보탑사는 만뢰산 줄기의 능선을 업은 밋밋한 지형위에 위치하고 있다. 절간을 지을 공간이 부족하지는 않을 것 같은 지형이라는 얘기이다. 하지만 내가 본 보탑사의 첫 인상은 답답하다는 것이었다. 수많은 전각(殿閣)들이 너무 다닥다닥 붙어있었기 때문이다. 아무튼 오늘 산행은 총 4시간이 걸렸다. 간식을 먹느라 중간에서 멈추었던 시간을 감안할 경우 순수하게 걸은 시간은 3시간50분쯤 되는 셈이다.



보탑사(寶塔寺)는 고려 시대 절터로 전해지던 곳에 1996년 지광, 묘순, 능현 스님이 세운 비구니 사찰이다. 1992년 대목수 신영훈을 비롯한 여러 장인들이 참여한 불사를 시작하여 199683층 목탑을 완공하였고, 그 후 지장전과 영산전, 산신각 등을 건립하고 2003년 불사를 마쳤다. 보탑사의 백미(白眉)는 누가 뭐라고 해도 3층짜리 목탑불전이다. 황룡사 9층 목탑을 모델로 만들었는데, 목탑의 높이는 42.71m, 상륜부(9.99m)까지 더하면 총 높이가 52.7m에 이르는데 이는 14층 아파트와 견줄 만한 높이이다. 목탑을 떠받치고 있는 기둥은 모두 29개이다. 강원도산 소나무를 재료로 하여 전혀 못을 사용하지 않고 전통 방식으로 지어졌다고 한다. 그밖에도 보탑사에는 장수왕릉(장수총)을 재현해 만든 지장전과 너와지붕을 얹은 귀틀집 형식의 산신각, 부처가 500명의 비구들에게 설법하던 모습을 재현한 영산전, 그리고 와불 열반적정상을 모신 적조전을 비롯하여 범종각, 법고전, 불유각(佛乳閣), 삼소실(三笑室) 등의 건축물이 조성되어 있다.



경내로 들어서면 목탑(木塔) 형의 3층짜리 불전(佛殿)이 중생(衆生)들을 맞는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높은 불전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목탑형 건물로는 쌍봉사와 법주사 팔상전 등을 들 수 있으나 사람이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 그러나 신영훈씨가 지었다는 이곳 보탑사의 목탑불전은 사람이 올라갈 수 있게 지어졌다. 목수로서 역사서에 나오는 신라의 황룡사 구층탑을 재현해 보고자 하던 그가 목탑건축으로 후대에 남을 오늘의 절집을 마련했다는 것이다. 이 목탑의 높이는 42.7m이다. 일층은 사방불을 안치했다. 석가여래, 비로자나불, 약사여래, 아미타여래다. 2층에는 가운데에 윤장대가 있고 그 안에는 대장경을 봉안했다. 윤장대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경서와 석경이 비치돼있다. 삼층은 남향한 미륵불을 모시고 있다. 아무튼 보탑사의 목탑은 불전양식의 신기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통불사에 충실하여 오로지 목재로만 결구된 중층식 건물은 가로로 퍼진 대웅전식 불전에는 없는 장엄함과 웅장함 속에 함유된 경건함을 덤으로 느낄 수 있는 것도 이색적이다. 단청이며 기왓장의 색깔, 하늘을 찌르고 있는 보주의 형상도 하늘에 닿고 땅에 이르는 목탑의 외형적 완성도를 느끼게 하는 부분이다.



절을 한 바퀴 둘러보다가 요사(寮舍)‘로 보이는 건물 앞에서 발걸음을 멈춘다. 이곳 보탑사는 비구니(比丘尼) 스님들이 정진(精進)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다른 전각들과는 달리 소박하게 지어진 외형이나, 친근함이 묻어나는 삼소당(三笑堂)이란 편액에서 여성스러움이 물씬 풍긴다. 그리고 그네들의 청정을 방해할까봐 얼른 절 밖으로 빠져나온다. 그러다가 천려일실(千慮一失)을 범해버렸다. 절의 뒤편에 있는 연곡리 석비(蓮谷里石碑)‘에 들러보는 것을 깜빡해버린 것이다. 보물 404호로까지 지정된 중요 문화재인데 아쉬운 일이다. 아무튼 이 석비는 거북받침위에 몸을 세우고 머리를 얹은 일반형 석비로 비문이 없어 일명 백비(白碑)‘라고 불려 더욱 유명하다. 처음부터 글을 새기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쓴 글을 지워 버린 것인지는 알 수가 없단다. 이 비의 주인공 또한 누구인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거북모양 받침돌의 머리 형태와 비의 규모에 비해 얇은 몸, 옆으로 긴 네모꼴의 머리 형태 등 고려 초기 특징을 지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