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 : 중국 태항산 여행

 

여행일 : ‘18. 10. 8() - 10.12()

일 정 : 석가장(8)휘현 천계산·왕망령·만선산(9)임주 태항산대협곡(10)임주 팔천협(11)안양 문자박물관(11)석가장 조운묘(12)

 

여행 셋째 날 : 도화곡(桃花谷)

 

특징 : 태항산맥을 대표하는 협곡(峽谷)으로 중국 10대 협곡가운데 하나로 꼽히며 길이는 대략 4정도 된다. 골짜기는 수억만 년 전에 형성된 지반이 유수(流水)의 침식으로 인해 홍암석이 씻겨나가면서 만들어졌으며, 가장 좁은 곳은 2m 밖에 되지 않는데 그 사이로 맑은 물이 흐르면서 곳곳에 폭포를 만들었고, 연못을 이루었는가 하면 때로는 폭포와 연못이 서로 어우러지기도 한다. 그런 풍경들이 마치 한 폭의 그림을 연상시키면서 사람들로부터 천하제일이라는 칭송을 받고 있다. 넉넉잡아 2시간 정도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게 되는데 주요 볼거리로는 황룡담과 비룡협, 함주, 이룡희주 등을 꼽을 수 있다. 구련폭포 같은 크고 작은 물줄기가 떨어지는 폭포들도 빼놓을 수 없음은 물론이다. 절벽에 기대어놓은 잔도(棧道)를 걸으며 느끼는 아찔함은 또 다른 즐거움이라 하겠다. 참고로 도화곡(桃花谷)이란 지명은 엄동설한에도 복숭아꽃이 핀다는 데서 유래됐다고 한다.


 

굽이굽이 돌아대는 산길을 따라 산속으로 들어서자 드넓은 주차장이 나타난다. ’도화곡 경구주차장이다. 차에서 내리면 태항대협곡이 그 전모를 드러낸다. 아니 입맛만 보여준다고 하는 게 옳은 표현일 수도 있겠다. 관광객들은 이곳에서 소정의 입장료를 지불하고 경구에서 운영하는 셔틀버스에 올라 도화곡의 입구인 비룡협까지 이동하게 된다. 참고로 오늘은 임주(林州)에 위치한 태항대협곡(太行大峽谷)‘을 둘러보는 일정이다. 몇 개의 경관이 뛰어난 경구들을 거느리고 있는데, 우리는 오늘 엄동설한에도 복숭아꽃이 핀다는 도화곡(桃花谷)과 태항대협곡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태항천로를 탐방하게 된다.






매표소 앞 광장에는 중국 임주 태항대협곡(中國 林州 太行大峽谷)’이라고 적힌 거대한 표지석을 세워놓았다. ‘임주 경내에 있는 태항산 대협곡이라는 얘기일 것이다. 광장의 가장자리에는 태항대협곡 풍경구의 관광안내도를 배치했다. 풍경구 내에 도화곡(桃花谷)’왕상암(王相岩)’이라는 두 개의 경구(景區)를 거느리고 있단다. 또 다른 관광안내도에는 태극빙산(太極氷山)’까지 포함시켰다. 그렇다. 임주지역의 태항대협곡은 이곳 도화곡 경구(桃花谷 景區)’를 위시해서 태항산의 혼으로 불리는 왕상암 경구(王相岩 景區)’, 그리고 여름철에도 얼음을 볼 수 있다는 태극빙산 경구(太極氷山 景區)’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 장쾌한 대협곡을 조망할 수 있는 태항천로(太行天路, 옛 이름은 환산선)까지 더하면 임주 소재의 대항대협곡이 완성된다. 다만 편의시설 공사가 한창인 태극빙산경구는 아직까지 관광객들을 받지 않고 있다. 어떤 이들은 여기에다 산과 물이 장관을 이루는 선대암풍경구와 태항평호(太行平湖)를 끼워넣기도 하니 참조한다.




표를 보여주고 안으로 들자 작은 연못이 만들어져 있다. 연못의 가장자리에는 태항대협곡의 전경과 함께 사계(四季)의 풍경을 담은 사진을 배치했다. 래프팅 사진도 넣어놓은 걸 보면 액티비티 스포츠(activity sports)도 가능한 모양이다.



이 도로는 도화곡의 들머리와 날머리인 도화동(桃花洞)을 거쳐 왕상암까지 연결된다. 하지만 셔틀버스는 도화동까지만 운행한다. 그 이후, 그러니까 태행천로(太行天路)빵차라는 별명을 가진 전동차를 타고 둘러보게 된다. ! 잠시 후 시작되는 트레킹은 어제 둘러봤던 회룡천계산과는 다른 특징을 갖고 있다. 어제 본 태항대협곡이 위에서 굽어보는 경관이었다면 이곳 도화곡은 협곡을 거닐면서 아래서 위를 올려다보는 경관이라 하겠다.



협곡을 따라 달리던 버스가 도화곡의 입구에서 200m쯤 못 미치는 곳에다 관광객들을 내려놓는다. 멀리서 도화곡의 전체적인 외관을 눈에 담아보라는 배려일 것이다. 도화곡을 만들어내고 있는 협곡의 규모가 그만큼 크다는 증거가 아닐까 싶다. 가까이 다가갈 경우 전체적인 윤곽이 그려지지 않기 때문이다.



도화곡의 검표소(檢票所)에 이르자 거대한 바위협곡이 건너편으로 나타난다. 바위벽에는 비룡협(飛龍峽)‘이라는 글자를 멀리서도 보일 정도로 크게 적어놓았다. 안으로 들어서자 도화곡의 관광안내도가 눈에 띈다. 도화곡의 지도를 그린 다음 그 위에다 지명을 표기해 놓았으니 한번쯤 살펴본 다음에 길을 나서기 바란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했으니 꼭 보아야 할 것을 놓치는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또 다른 안내도도 보인다. 이곳 도화곡에서 만나게 되는 구련폭포의 사진과 함께 까마득한 절벽에 붙어있는 원통형 사다리 계단인 통제‘, 그리고 하늘 위의 길인 태항천로의 풍경 사진을 지도의 양 옆에다 실었다. 풍경구를 대표할만한 경관이라는 얘기일 것이다.





협곡으로 들어서면서 트레킹이 시작된다. 도화곡을 둘러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그중 하나는 물길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눈앞에 펼쳐지는 경관을 가슴에 담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전동차를 타고 가면서 차창 밖으로 펼쳐지는 경관을 구경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대협곡의 속살을 제대로 음미하려면 좀 힘들더라도 다리품을 파는 게 제격이다. 차를 타고가다 보면 숨겨진 비경들을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그마저도 자칫 주마간산(走馬看山)이 되어버릴 수 있을 테니까 말이다.



눈의 호사는 금대(琴台)‘로부터 시작된다. (, BC1046-BC256)의 무왕을 도와 상나라(, BC1600-BC1046)를 패망시킨 강자아(姜子牙, 태공망)’가 은퇴한 후에 거문고를 연주했다는 곳이다. 어즈버 인걸(人傑)은 간 데 없고 그가 앉았던 자리만이 남아 역사의 현장이 되어버린 셈이다. 아니 경관 좋은 곳에 이왕에 들었으니 졸졸거리며 흘러내리는 물소리를 그가 타던 거문고 소리라 여긴다고 해서 누가 뭐라 하겠는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길을 잘 찾는 것은 물이다. 물이 흘러 내려오는 길을 따라 잠시 올라가면 거대한 용()이 누워있는 모양새라는 황룡담(黃龍潭)’이 나타난다. 안내판에는 도화담(桃花潭)’으로 적었다. 두 개의 못으로 나누어진 도화담 가운데 아래에 위치한 못을 황룡담(黃龍潭)’이라 부른다는 것이다. 두 개의 못은 비룡폭포(飛龍瀑布)’로 연결된다. '비룡협(飛龍狹)'의 물줄기가 아래로 떨어지다가 용()으로라도 변했나보다.





길은 옥빛의 넉넉한 소()에 가로막히면서 더 이상 들어오지 말라고 한다. 길이 없다 싶었을 때, 또 다시 길이 보였다. 왼편 절벽에다 아슬아슬하게 철계단을 걸어놓았다. 80년대 말, 사람들은 없던 길을 새로 내면서 보운잔도(步雲棧道)’라는 이름을 붙였다. 선반처럼 절벽에 매달아놓고 그 위를 걸어보니 마치 구름 위를 걷는 듯한 느낌이더라는 것이다. 수직의 벼랑에 매달린 길은 저 홀로 계곡을 건너고 다시 건너 시야 밖으로 사라진다.



두 번째 못인 백룡담(白龍潭)’사옥폭포(瀉玉瀑布)’가 쏟아내는 물줄기가 만들었다. 못 위에 놓인 돌다리를 건너며 사람들은 18m 높이에서 떨어지는 물줄기를 바라봤던 모양이다. 그리고는 옥을 쏟아내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던 게 분명하다. 폭포에다 사옥(瀉玉)’이란 이름을 붙여놓은 걸 보면 말이다. 그건 그렇고 구름 속을 걸어오던 보운잔도(步雲棧道)’가 이번에는 오른편 절벽에 걸쳐졌다. 아슬아슬한 모양새인 것은 아까와 매한가지다.




꼬불꼬불 흐르는 계곡물, 우뚝 솟은 봉우리와 기암괴석, 시원하게 쏟아내는 폭포수가 한데 어우러져 완벽한 조화를 이루는, 정말 아름다운 계곡이다.



사옥폭포 위로 올라서면 직립의 양쪽 절벽 사이로 폭 6~15m의 좁은 계곡이 300m 정도, 마치 용이 기어가듯 지그재그로 이어진다. 그래서 비룡협(飛龍峽)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이 부근의 길은 몸을 구겨야만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대부분이 비좁은데, 이마저도 선반을 걸치듯이 절벽에다 매달아놓았다.





그렇게 한참을 오르다가 줄다리를 건너면 함주(含珠)’가 나온다. 도화곡에 흐르는 물길을 위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한 마리의 거대한 용()이 누워 있는 듯한 형상을 하고 있는데, 함주는 용의 입에 해당하는 부분이란다. 하지만 안내판은 다른 내용을 적고 있었다. 우리가 딛고 있는 이 암반이 오랜 세월 침식과정을 거치면서 매끌매끌하게 변해, 마치 용이 입 안에다 보물을 가득 물고 있는 모양새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곳의 지명이 머금을 함()’자를 사용하고 있으니 후자가 더 옳아 보인다.




조금 더 오르니 이번에는 커다란 바위 하나가 냇가에 터를 잡고 앉았다. 바위 표면에는 보들보들한 풀들이 자라고 있다. 이런 모양새를 멀리서 바라볼 경우 마치 사자가 엎드려 있는 것 같다고 안내판은 적고 있다. 그나저나 누군가 바위에다 일월유천(日月流泉)이란 문장을 음각(陰刻)해 놓았다. 그러나 주변에는 샘()이 보이지 않는다. 안내판이 바위 옆의 널찍한 암반에서 잠시 쉬어가면서 냇가로 내려가 샘물로 피로를 씻어보라고 적은 것을 보면 중국 사람들은 냇물도 샘으로 치는 모양이다.




이번에는 길을 아예 물위에다 내버렸다. 흙길도, 그렇다고 바윗길도 아닌 물길인 셈이다. 선반을 걸쳐 놓을만한 절벽마저도 눈에 띄지 않았던 모양이다. 안내판은 이곳을 수운간(水雲間)이라 적고 있다. 아홉 구비의 유리다리 위를 걸으면서 푸른 하늘과 구름뿐만 아니라 발아래로 흐르는 물까지 느껴보라는 배려일 것이다.




유리다리를 지나자 계단식으로 된 폭포를 만난다. 안내판은 이곳을 벽계(碧溪)’라고 적고 있다. 폭포가 아니라 그냥 푸른 물줄기라는 것이다. 물줄기가 하도 많은 돌계단을 넘다보니 폭포라는 생각이 들지도 않았던 모양이다.





계곡을 거슬러 올라가는 일은 마냥 쉽지만은 않다. 암벽에 설치된 잔도를 걷고, 때로는 고개를 쳐들 수 없는 곳과 배낭마저 통행에 지장을 주는 곳도 수시로 만난다. 머리를 숙이고 몸을 비틀며 더러는 앉은뱅이걸음까지 해야 하는 관광객들의 모습이 애처로울 정도이다. 하지만 인상을 찌푸리는 관광객은 단 한명도 눈에 띄지 않았다. 아니 심심찮게 나타나는 작은 폭포와 못의 징검다리를 건널 때는 오히려 환한 미소까지 짓고 있었다. 그만큼 주변 풍광이 빼어나다는 증거일 것이다.



얼마쯤 더 올랐을까 이번에는 이룡희주(二龍戱珠)’가 나온다. 계곡 사이에 커다란 바위가 끼어있어서 물길이 두 줄기로 갈라지는데, 그 모양새가 마치 두 마리의 용이 여의주를 갖고 노는 형상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주변의 바위들이 뭔가를 층층이 쌓아놓은 것 같은 형태의 가로 줄무늬로 나타난다. 물결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12억 년 전에 생성된 것이란다.



풍월교(風月橋)는 옥빛 계곡 위에 걸려있는 나무다리이다. 그런데 우리가 보아오던 여느 다리와는 그 생김새가 다르다. 계단을 놓듯이 간격을 띄워 놓음으로써 발아래로 콸콸 흘러가는 계곡수를 내려다 볼 수 있도록 했다. 도화곡에서 가장 넓은 곳이나 풍광 또한 뛰어나다.



순하던 탐방로가 또 다시 허공에 걸쳐졌다. 이번에는 화계잔도(花溪棧道)란다. 이 부근에 자라고 있는 복숭아나무들이 꽃을 피울 때면 계곡의 수면(水面) 위를 떨어진 꽃잎들이 아름답게 장식한다는 것이다.



화계잔도를 통과하면 수많은 폭포들이 연결되어 있는 구련폭(九蓮瀑)‘이 나온다. ’‘구련폭은 하나의 폭포만이 아니고 이 지역의 폭포를 아우르는 지명이다. 고대(古代)의 중문(中文)에서 구()는 많다는 뜻을 포함한다는 것이다. 안내판은 또 폭포마다 각기 다른 자태를 보여주고 있으니 갈 길을 서두르지 말고 한번쯤 살펴보라는 조언까지 해두었다.



구련폭(九連瀑) 근처에는 과일과 토산품 등을 파는 가게가 있었다. 함께 걷고 있던 고등학교 선배님이 달걀만한 배를 사서 건네주셨는데 맛이 괜찮은 편이었다. 이번 여행 중에 처음으로 만난 분이었는데 내가 후배인데도 불구하고 여행 내내 요것조것 많이도 보살펴 주셨다. 동문(同門)이란 말만 들어도 친근함이 솟아나는 낱말이가 보다.



도화곡의 대미는 구련폭포(九蓮瀑布)’가 장식한다고 보면 되겠다. 장마철이 아니라서 물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아홉 갈래 이상으로 떨어지는 물줄기가 장관이 아닐 수 없다. 그런 풍광을 사람들이 놓칠 리가 없다. 시원하게 쏟아지는 물줄기를 배경으로 앞에 놓인 징검다리에서 사진을 찍으려는 관광객들이 장사진을 이룬다.



폭포는 하얀 물보라를 일으키는 물줄기를 거침없이 쏟아낸다. 아름답다는 말 이외에 다른 표현은 필요하지 않을 것 같다. 하긴 이곳 도화곡은 중국 내 아름다운 협곡 베스트 10’에 선정되기도 했다니 이를 말이겠는가. 태항산은 사람이 살기 힘들 정도로 척박하기 이루 말할 수 없는 곳이지만 도화곡이라는 지명은 무릉도원처럼 왠지 이상향의 염원을 담고 있을 것만 같다.





구련폭포의 위에는 무릉원(武陵源)’이라는 쉼터가 들어섰다. ()와 커피, 쥬스 등 음료는 물론이고, 옥수수와 라면 등의 먹거리들도 판다. 그런데 밖에 걸어놓은 메뉴판이 한글로 적혀있는 게 눈길을 끈다. 라면도 한국산을 내놓는가 하면 심지어는 이동막걸리까지 팔고 있다. 그 가운데 하나는 아예 한국인 전용 쉼터라는 간판까지 내걸고 있었다. 그만큼 한국 관광객들이 많다는 증거일 것이다. 그렇다. 이곳까지 오는 동안 귓가를 스쳐갔던 언어는 한국어가 대부분이었다.




쉼터를 지나면 유원(柳苑)’이다. “유원은 구련폭포 상류의 넓은 전망처 위에 세워진 버드나무 정원이다.” 커피를 마시며 여유 있게 주위 풍광을 즐길 수 있는 휴식처다.



조금 더 오르면 도화곡의 물줄기를 막아놓은 도화당(桃花塘)’이 나온다. 도화곡의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만든 인공(人工) 저수지란다. 그러다보니 보여주는 풍광은 별로이다. 그러나 이곳에서 바라보는 태항산의 자태는 자못 빼어나다. 그래선지 그림을 그리는 학생들이 곳곳에 들어앉아 삼매경(三昧境)에 빠져 붓끝을 놀리고 있었다.



탐방로는 잠시 후 도화동(桃花洞)’에 올라선다. 해발이 1,300m에 이른다는 도화촌은 대협곡의 8부 능선에 들어앉은 자연부락이다. 이곳에는 화장실은 물론이고 기념품가게와 음식점 등의 편의시설들을 갖춘 민속광장(民俗廣場)이 조성되어 있다. 하룻밤을 머물고 싶은 여행자라면 길 건너에 있는 도화동 마을에서 찾아보면 될 것 같다. 참고로 도화동은 겨울철 엄동설한에도 복숭아꽃이 핀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만큼 이곳의 기후가 따뜻하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그게 불가능한 일이라며 이름이 붙게 된 원인을 협곡의 특징인 자홍색(紫訌色) 석영사암(石英砂岩)에서 찾는 사람들도 있다. 사방이 하얀 눈에 덮여 있는데 유독 골짜기만 자홍색을 띠고 있는 것이 마치 복숭아꽃이 피어있는 것처럼 보였을 것이란다.



도화동에 이르면 전동차로 올라온 관광객들과 합류하게 된다. 도화곡 트레킹이 이곳에서 끝을 맺는 대신에 태항천로(太行天路)의 투어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래선지 광장에는 도화곡이 아닌 태항천로에 대한 안내도를 세워 놓았다. 그건 그렇고 트레킹을 마쳤다고 생각하니 뭔가 미진하다는 생각이 든다. 맞다. 누군가 이곳 도화곡에는 3대 명물로 꼽히는 것이 있다고 했다. 한겨울에 핀 복숭화 꽃(桃花)’과 한여름에 언 얼음()’, 그리고 내리치면 돼지 울음소리를 낸다는 저규석(猪叫石)’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도 난 도화곡이라는 이름 외에는 아무것도 보지 못했다. 잠시 후에 만나게 되는 태항천로에서라도 만나봤으면 좋겠다.



이틀 밤을 머물렀던 임주의 희복원호텔

임주가 자그마한 도시임을 감안할 때 나름대로 규모가 있는 준 4성급 호텔이다. 그래선지 객실이 널찍한데다 깨끗하기까지 했다. 커피포트와 헤어드라이기가 준비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일회용 세면도구들도 풀로 제공하고 있었다. 아침식사의 질과 양은 보통수준으로 보면 되겠다. 하지만 난 이곳에서 생각하기 싫은 풍경을 만나버렸다. 아침식사를 하려고 식당으로 들어가는데 식권과 삶은 달걀 하나씩이 맞교환되고 있었던 것이다. 앞에서도 얘기했듯이 우리부부는 매년 분기마다 한 번 이상씩 해외여행을 나간다. 그 여행이 대부분 패키지여행이다 보니 여러 부류의 사람들과 여행을 함께 하게 된다. 가끔은 인상을 찌푸리게 만드는 사람들과도 여행을 함께 할 수밖에 없는 이유이다. 그런 사람들 가운데서도 가장 싫었던 것은 호텔의 아침상에 차려졌던 삶을 계란을 여러 개씩 챙겨와 버스를 타고 가면서 먹는 사람들이었다. 그러지 않았으면 했었는데 이번에 배급제라는 망신살을 만나버린 것이다. 그것도 북유럽의 크루즈에서 뷔페식단의 제공을 거부해버릴 정도로 에티켓(etiquette)이 최악이라는 평가를 받는 중국인들로부터 말이다. 끔찍했기에 오래갈 수밖에 없는 기억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