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지 : 중국 태항산 여행

 

여행일 : ‘18. 10. 8() - 10.12()

일 정 : 석가장(8)휘현 천계산·왕망령·만선산(9)임주 태항산대협곡(10)임주 팔천협(11)안양 문자박물관(11)석가장 조운묘(12)

 

여행 둘째 날 : 만선산(萬仙山)의 단분구(丹分溝) 트레킹

 

특징 : ’단분구(丹分溝)‘는 붉은 골짜기라는 의미이다. 단분(丹分) 마을을 출발해 수백 길 높이의 바위협곡(峽谷)을 따라 내려오면서 백룡담과 흑룡담 등의 아름다운 경관들을 구경하는 트레킹 코스이다. 이때 만나게 되는 양쪽 절벽은 우리가 흔히 보는 회색이나 검은 색의 암석이 아닌 붉은색의 암벽으로 이루어졌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12억 년 전에 형성된 이 일대의 암석이 산화철 성분이 많은 석영사암(石英砂巖)이라서 붉은 색조를 띠기 때문이라고 한다. 다른 한편으로 이곳 단분구 경구(만선산풍경구)‘는 별이 4개나 되는 최고급 풍경구 가운데 하나로 빼어난 아름다움을 자랑한다. 안에는 붉은 벼랑과 깊은 협곡, 그 사이를 수직 낙하하는 여러 폭포와 수많은 연못들이 들어서 있다. 하지만 단분구는 그런 풍경들을 속으로 갈무리해두었다. 탐방로 전체가 바위협곡의 안에 들어있기 때문이다. 그런 모든 지질학적 특징을 보존하기 위해 중국 당국은 이곳을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해 놓았다.

 

트레킹은 단분(丹分)’ 마을에서 시작된다. 들머리에 선경(仙境)이라고 적힌 표지석이 세워져 있다. 그만큼 아름답다는 얘기일 것이다. 대표적 구경거리인 황룡동(黃龙洞)과 단분구(丹分溝), 흑룡담(黑龙潭)의 진행방향을 알려주는 이정표도 세워져 있다. 사진은 올리지 않았지만 단분(丹分) 마을의 표지석도 보인다. 단분(丹分)()’붉다는 뜻으로 바위절벽의 색깔을 나타내며, ‘()’은 절벽들이 층층으로 나뉘어져 있다는데서 얻게 된 이름이란다. 다른 한편으론 이곳 남평(南坪) 지역에 많은 신선들이 살고 있었는데 그들이 불로환이란 조그만 알약을 먹고 살아서 그런 이름이 붙게 되었다는 설과, 이 지역이 진나라 때는 단분(單分)이었는데 발음이 같은 단()으로 바뀌었다는 설도 전해진다.






들머리에는 안내소와 기념품가게 등의 편의시설들이 들어서 있다. 그중에서도 눈길을 끄는 건 단연 목공예품 판매점이다. 탱크나 배 모양으로 만든 소품들이 주를 이루지만 개중에는 산천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산수경목(山水景木)’도 보인다. 흔하디흔한 기념품이 아니라 아예 예술품으로 승화시켜 놓았다는 얘기이다.




골짜기로 들어서자마자 자그마한 폭포(瀑布)가 길손을 맞는다. 이런 폭포들은 앞으로 많이 만나게 된다. 아니 앞으로는 이보다 훨씬 더 부피를 불린 폭포들이 나타난다. 그뿐만이 아니다. 협곡을 따라 내려가다 보면 곳곳에서 단분구의 물길이 빚어놓은 소()와 담()들도 만나게 된다.




협곡으로 들어서면 홍암절벽에 설치된 난간길을 따르게 된다. 그 길을 따라 안으로 들어갈수록 풍광은 더욱 아름다워진다. 층층을 이룬 절벽이 마주하는 협곡의 자연지형을 잘 이용하여 절묘하게 길을 만들어 놓았다. 그 길을 걸으며 만나는 풍광은 한눈을 팔 겨를도 없이 변화무쌍하다. 돌계단과 바위를 지나면 나타나는 좁은 철계단, 이어서 흔들다리를 건너면 다시 철계단과 바위길이 번갈아 등장한다.



이곳은 중국에서 지정한 국가지질공원(國家地質公園)‘이다. 그래선지 지질의 특성에 대한 내용을 적은 빗돌(碑石)을 곳곳에 세워놓았다. 맨 위에다 자기네 나라말로 적고 그 아래에는 영어와 한글로 번역을 해놓았다. 오전에 들렀던 천계산의 안내판만 해도 일본어가 있었는데 이곳에서는 아예 빼버렸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그만큼 많이 찾는다는 얘기겠지만 기분 좋은 일이라 하겠다. 그 가운데 하나가 사교층리(斜交層理)‘라고 적힌 빗돌이다. 사교층리란 상하로 겹친 지층이 서로 접하는 면에 대하여 비스듬히 엇갈리는 작은 층리를 말하는데, 모래 언덕이나 강바닥, 강어귀의 퇴적층에서 볼 수 있으며 주로 사암층 내부에서 많이 발견된다고 한다. 발걸음을 잠시 멈추고 주변을 살펴보지만 설명과 같은 형상은 눈에 띄지 않았다. 하긴 법학을 전공한 내 눈에까지 띌 정도라면 누가 지질학을 어려운 학문이라 하겠는가.



잠시 후 빙글빙글 돌아대는 철계단이 나타난다. 좁디좁은 협곡이 고도(高度)까지 높다보니 돌리지 않고서는 아래로 내려설 수가 없었나 보다. 그 생김새 또한 빼어나다. 거기다 좁아터진 틈새에는 폭포까지 들어앉았다. 그러니 누군들 카메라의 앵클을 맞추지 않고서 그냥 지나칠 수 있겠는가.






계곡은 한마디로 아름답다. 다만 물이 조금 적은 게 흠이라면 흠이라 하겠다. 이런 경관에 청수(淸水)까지 넘실거렸더라면 그야말로 선경(仙境)이 따로 없었을 거라는 얘기다.. 문득 아까 들머리에서 보았던 선경(仙境)‘ 표지석이 떠오른다. 그렇게 표현한 이는 틀림없이 우기(雨期)에 이곳을 찾았었을 것이다.






걷다보면 부드러운 잔물결이 뚜렷한 파도석들이 가끔 눈에 띈다. 오래 전 이 땅이 바다 속에 있었다는 증거들이 사방에 널려 있는 셈이다.






짧기는 하지만 동굴을 지나기도 한다. 붉은색 일색인 기암절벽에다 폭포··담 그리고 동굴까지 품었으니 이곳 단분구는 관광객들에게 보여줄 만한 것들을 모조리 갖췄다고 보면 되겠다.




동굴을 지나자 갑자기 길이 사라져버린다. 막다른 난간 아래는 아찔한 천 길 낭떠러지다. 그리고 그 건너편 절벽에서는 흑룡담 폭포가 무심하게 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 함께 해온 물길은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내려온 협곡 말고도 또 다른 계곡이 있었다는 얘기일 것이다.





사라진 것 같았던 길은 왼편의 절벽을 따라 급하게 내려가는 계단으로 바뀌었다. 절벽에 기대다보니 선반을 매달 듯 내놓은 곳도 보인다. 잔도(棧道)라 불러도 되겠다.




아래로 내려가다가 만나게 되는 삼거리에 이정표 하나가 세워져 있다. 이정표는 왼편에 보이는 계단으로 오를 경우 황룡동(黃龙洞)’으로 연결된다고 표기해놓았다. 만선산이 자랑하는 비경 가운데 하나라기에 다녀올까 하다가 그만두기로 한다. 거리표시도 없을 뿐만 아니라 이정표의 중단에 그려 넣은 지도까지도 식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낡아있었기 때문이다. 어디쯤에 있는 줄도 모르고 무작정 찾아갈 수야 없지 않겠는가.



이정표 옆에는 붕괴주림(崩壞柱林)’이라고 적힌 빗돌이 세워져 있다. 영어로는 ‘collapse pillar forest’라고 적었다. ‘무너져 내린 돌기둥 숲이라는 뜻일 게다. 하단에는 그 특징을 수직으로 솟아오른 돌기둥들이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 숲을 이룬다고 적었다. 붕괴작용 때문이란다. 석영 사암의 수직 절리가 변형된 것이라서 쉽게 부서지기 때문이란다. 풍화작용으로 인해 암석이 부서지고 붕괴되면서 받침부분만 남게 되어 돌기둥과 석림(石林)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련 현상 역시 눈으로 확인해 볼 수는 없었다. 아무리 둘러봐도 돌기둥, 아니 돌기둥처럼 생긴 바위조차 눈에 들어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아래로 내려서자 오른편 협곡에서 물 떨어지는 소리가 들린다. 조금 전까지 함께 해온 물줄기가 만들어 놓은 백룡담·폭포(白龙潭·瀑布)’이니 놓치지 말고 꼭 들어가 보자. 직폭(直瀑)과 와폭(臥瀑)이 합쳐졌을 뿐만 아니라 얕기는 하지만 연못()까지 갖추고 있어 잠깐의 눈요깃거리로는 충분하기 때문이다. 갈수기(渴水期)인 요즘은 왜소해 보이지만 폭포의 생김새로 보아 장마철에는 장관이 펼쳐질 게 분명하다.



조금 더 내려가면 이번에는 단분구의 하이라이트라는 흑룡담·폭포(黑龙潭·瀑布)’가 나타난다. 높이 80에 물이 떨어져 이루는 소의 깊이가 13에 이르는 거대한 폭포이다. 거기다 만선산의 제일경이라는 호칭에 걸맞게 주변경관까지도 뛰어나다. 걸어 내려오느라 고단해진 다리도 쉴 겸해서 잠시 쉬어가기에 딱 좋은 곳이라 하겠다. 참고로 흑룡(黑龙)이란 이름은 폭포의 생김새가 하늘로 비상하는 용의 눈썹을 닮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이후부터 길은 순해진다. 내려딛는 조심을 할 필요도 없으니 이젠 주변 경관에 푹 빠져볼 차례이다. 그래도 여유가 있다면 이곳까지 내려오면서 눈에 담아두었던 풍경들을 되짚어 볼 일이다. 단분구는 넉넉잡아 2시간이면 족할 만큼 길지 않은 코스이다. 하지만 풍경이 하도 변화무쌍해서 정리해나가기 바빴었으니 말이다.





천애의 절벽을 헤집으며 이어지는 협곡에는 어린 예술 지망생들이 곳곳에 뿌려져 있다. ‘중국의 위대한 자연 현상이라는 찬사를 받는지라 인근에 위치한 미술학교 학생들에게 끝없는 도전의 대상이 되고 있단다. 캔버스와 팔레트, 물통을 손에 든 젊은이들이 폭포 아래나 계곡, 마을에 앉아 몇 시간씩 산을 응시하는 풍경은 그 자체만으로도 아름다운 그림이 된다.





느긋하게 내려오다 보니 이곳 지질의 특징과 생성과정, 보호의 필요성 등을 적은 빗돌들이 여럿 눈에 들어온다. 이 일대는 구조 지질학적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으로 암석의 연대는 12억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협곡을 장식한 붉은 색 암벽들은 석영 사암의 풍부한 산화철 성분으로 인해 붉은 색조를 띄기 때문이란다. 그런 특이성을 살려 나라에서는 이곳을 국가지질공원(國家地質公園)‘으로 지정해두었다. 참고로 암석은 그 암석이 만들어진 원인에 따라 세 가지로 분류한다. 화산의 활동에 의해서 만들어진 화성암(火成巖), 흙이나 모래가 쌓여서 굳어진 퇴적암(堆積巖), 그리고 화성암이나 퇴적암이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변형된 변성암(變成巖) 등이 있는데 사암(砂巖)은 퇴적암의 일종이다. 우리가 보고 있는 이 암벽들은 철분이 섞인 사암이다. 철이 산화하면서 붉은 색을 띠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한참을 내려오니 주차장이 나온다. 이정표에는 이곳을 용담구주차장(龙潭沟停车场)이라고 표기해 놓았다. 이쯤에서 아름다운 협곡 단분구의 트래킹이 끝났다고 보면 되겠다. 하지만 우린 100m 남짓 더 내려가기로 한다. 버스가 일월성석 정자근처의 주차장에서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념품가게가 늘어선 골목길을 따라 100m 남짓 더 내려가면 또 다른 주차장이 나타난다. 근처에 일월성석 정자가 있으니 일월성석 주차장이라고 부르면 되지 않을까 싶다.



주차장 근처에는 일월정(日月亭)이라는 정자가 지어져 있다. 그리고 그 안에는 일월성석(日月星石)‘이라는 석판을 세워 놓았는데 자연석이라고 믿기 어려울 만큼 선명하게 해()와 달() 그리고 별()의 문양이 나타나 있다. 이 석판은 1994년 마을의 한 농부가 집을 짓기 위해 바위를 캐다가 발견한 천연석이라고 한다. 홍콩의 갑부가 당시 한화 13천만 원에 사려고 했으나 마을 사람들은 거액의 제안을 거부하고 이 돌을 마을의 보물로 삼아 이곳에다 모셔놓고 있단다. 물을 뿌리면 그 문양이 더욱 선명하게 나타난다니 참조한다. 이 돌에다 소원을 빌면 무엇이든 이뤄진다는 얘기도 전해지니 기억해 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