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씨버선길(4), 장계향디미방길

 

여행일 : ‘21. 2. 20(토)

소재지 : 경북 청송군 진보면과 영양군 석보면·입암면 일원

여행코스 : 고현지→지경리재→두들마을→옥계1리→옥계지→임도삼거리→입암면사무소(소요시간 : 18.02km/ 4시간 20분)

 

함께한 사람들 : 청마산악회

 

특징 : 외씨버선의 갸름한 모양새를 닮았다는 ’외씨버선길‘은 청송에서 시작해 영양과 봉화를 거쳐 강원도 영월에서 끝난다. ‘육지 속의 섬’들을 잇는 이 트레일의 길이는 총 240㎞. 13개 코스와 2개의 연결구간으로 이루어졌다. 오늘은 이 가운데 네 번째 길인 ‘장계향디미방길’을 걷는다. 4개로 나누어진 영양 권역의 첫 번째 구간이기도 한데 장계향이 지은 현존 최고의 한글조리서인 ‘음식디미방’에서 이름을 따왔다. 그녀가 시집와서 자녀를 키우며 살았던 ‘두들마을’이 코스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마을 외에는 특별한 볼거리가 없다는 것 또한 이 코스의 특징이 아닐까 싶다. 참고로 두들마을은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의 작가 이문열의 고향이기도 하다.

 

▼ 들머리는 고현지(청송군 진보면 시량리 296-10)

당진-영덕고속도로(상주-영덕) 동청송·영양 IC에서 내려와 34번 국도를 타고 안동 방면으로 달리면 잠시 후 ‘시량2리(송이마을)’에 이르게 된다. 이 마을에 있는 저수지이자 시점인 ‘고현지’는 넓이가 1만평 정도 되는 저수지로 주민들에게 낚시터로 사랑받는 곳이다. 차량으로 5분 거리에는 ‘야송 미술관’과 ‘신촌 약수터’가 있다고 한다.

▼ 외씨버선길의 네 번째 코스인 ‘장계향디미방길’은 청송의 고현지에서 출발해 영양의 선바위관광지에 이르는 길이 18.3km의 둘레길이다. 청송군과 영양군의 경계인 지경마을과 ‘음식디미방’의 저자 장계향이 살았던 ‘두들마을’. 그리고 입암면 소재지인 신구리를 지나는데, 오르내림이 심하지 않은 임도와 농로가 대부분이라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지만 걸어야할 트레일의 길이가 다소 부담을 준다. 원래의 종점인 ‘선바위관광지’에서 한참이나 못 미친 입석면사무소에서 종료했는데도 핸드폰의 앱에는 18㎞나 찍혀 있었다.

▼ 4길(장계향디미방길)을 설명해놓은 ‘구간안내도’는 마을안길(송이길)과 국도(34호선)가 만나는 지점에 세워져 있다. 안내판은 두들마을과 광산문학연구소, 음식디미방, 산해리 오층모전석탑에 대한 설명과 함께 지도를 싣고 있었다. 이 가운데 오층모전석탑은 아예 외씨버선길에서 벗어나 있고, 나머지 장소들도 하나같이 두들마을에 포함된 명소들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그만큼 볼거리가 없다는 증거일 것이다.

▼ 고현지 아래, 서시천(西施川)에 걸린 ‘시량교(時良橋)’를 건너면서 트레킹이 시작된다. 다리를 건너면서 바라보는 고현지의 수로는 아직도 한겨울인 듯 빙벽으로 하얗게 덮여있었다.

▼ 청송의 상징이랄 수 있는 사과밭을 지나자 소하천인 ‘진시골천’이 나타난다. 이후부터 탐방로는 이 개울을 거슬러 올라간다. 인삼밭이 자주 눈에 띄는 구간이다. 전에는 고추나 콩을 많이 심었지만 요즘은 인삼밭이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는 중이란다.

▼ 10분쯤 들어가면 진시골 입구(이정표 : 선바위관광지 17.5㎞/ 고현지 0.8㎞). 탐방로는 이곳에서 임도로 들어선다. 오른편으로 갈려나가는 길은 시량2리에 속한 자연부락 가운데 하나인 ‘진시골’로 연결된다. 이름만 듣고도 ‘진씨’ 일가가 개척했다는 것을 눈치 챌 수 있는 마을이다.

▼ 임도를 빠져나오자 이번에는 고원지대가 널따랗게 펼쳐진다. 이곳도 역시 사과밭이 대부분인데, 탐방로는 저 멀리로 보이는 ‘지경리재’ 고갯마루를 향해 뻗어나간다.

▼ 멋들어지게 지어놓은 흙집이 보이기에 카메라에 담아봤다. 비록 꿈으로 끝나버렸지만 나도 한때는 저런 집에서 살고 싶은 열망이 있었기 때문이다. 단독주택을 꾸려나갈 수 있는 손재주가 없어서 그 꿈을 접게 되었지만 그때 홍천에 사둔 땅은 내 자식들을 위해 아직까지 남겨두고 있다.

▼ 둠벙 수준의 작은 연못을 지나자 이정표(선바위관광지 16.5㎞/ 고현지 1.8㎞) 하나가 세워져 있다. 트레킹을 시작한지 20분쯤 되는 지점. 그러니까 지경리재에 조금 못 미치는 곳인데 놓쳐서는 안 되는 중요 포스트이기도 하다. 외씨버선길의 완주를 인증하기 위해서는 이곳의 이정표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어야 하기 때문이다.

▼ 탐방로는 이정표의 바로 위에서 산자락으로 파고든다. 이어서 잠시 후에는 ‘지경리재’에 올라선다. 청송군과 영양군이 경계를 이루는 고갯마루인데 쉬어가라는 듯 벤치를 놓아두었다. 이정표(선바위관광지 16.5㎞/ 고현지 1.8㎞)는 물론이고 외씨버선길 알림판과 함께 지경리재의 내력을 적은 안내판까지 세워놓았다. 그만큼 중요한 포스트라는 얘기일 것이다. 그런데도 ‘완주 인증지점’을 왜 이곳이 아닌 요 아래에다 설치했는지 모르겠다.

▼ 고갯마루를 넘은 탐방로는 이제 영양 땅으로 들어선다. 마을 이름은 ‘지경리’. ‘지경’이란 땅의 경계라는 뜻이다. 조선시대에 영해부와 진보현의 경계가 되는 땅이라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또한 골짜기가 마치 구유처럼 생겼다고 해서 ‘구싯골’. 주변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아홉 계곡의 물줄기가 이곳에서 합해져 냇물을 이룬다고 하여 구수곡(九水谷)이라 부르기도 한단다.

▼ 소똥 냄새 고약한 축사 옆을 스치듯 지나자 ‘구싯골 삼거리’이다. 이어서 잠시 후에는 또 다른 삼거리. 즉 ‘원지길 삼거리’가 길손을 맞는다. 이정표(선바위관광지 14.8㎞/ 고현지 3.5㎞)는 이곳에서 오른편으로 방향을 틀라고 한다.

▼ 이후부터 탐방로는 ‘원지길’을 따른다. 이곳 ‘원지삼거리’에서 시작해 석보면 소재지에 있는 옛 원리교까지 이어지는 시멘트길이다.

▼ ‘에너지 전환·탈 원전·신재생 에너지’. 최근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고 있는 화두들이다. 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풍력·조력·태양광 발전’도 그 언저리에서 맴도는 키워드라 하겠다. 그런데 그 가운데 하나인 태양광발전소가 이 지역에는 유난히도 많이 들어서 있었다. 그것도 하나같이 큰 규모를 자랑한다. 길가에 묘지를 이장하라는 현수막까지 걸려있는 걸 보면 태양광발전소 건설은 아직도 현재진행형인 모양이다.

▼ 영양 땅에 들어섰지만 길가 풍경은 청송이나 다름없었다. 고추밭이나 인삼밭은 물론이고 사과과수원도 끊임없이 나타난다. 이곳 영양도 역시 사과의 본고장이라는 얘기일 것이다. 그나저나 눈에 들어오는 사과나무들은 하나같이 앙상한 모습이다. 6월이 돼야 열매가 생기고 10월께 수확한단다.

▼ 고개 하나를 더 넘자 ‘원리’의 널따란 들녘이 눈앞에 펼쳐진다. 화매천(花梅川)의 물길이 만들어낸 알찬 농경지이다. 그 뒤로는 독경산, 맹동산 등 낙동정맥의 마룻금에 놓인 산들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진다.

▼ 고개를 돌리자 이번에는 냇가에 터를 잡은 ‘두들마을’이 한눈에 쏙 들어온다. 조선시대 때 광제원(廣濟院)이 있던 ‘두들마을’은 ‘원리’ 또는 ‘원두들’로 불리기도 한다. '언덕에 원(院)이 있는 마을'에서 기인된 지명이다.

▼ 밭갈이가 한창인 농경지를 지나자 ‘원리교’가 나온다. 맹동산에서 발원한 화매천을 가로지르는 다리이다. 포도산 서편 아래를 흘러온 이 물길은 화매리 부근에서 다시 북서쪽으로 향하고 석보면소재지인 두들마을을 지나 영양읍 흥구리 앞에서 반변천에 유입된다. 참고로 '화매'라는 지명은 물이 흘러 주위의 황무지를 적셔 주니 그 땅에 여러 풀꽃들이 무성하게 자라났다고 해서 생겨난 이름이라고 한다.

▼ 두두룩하게 언덕진 땅에 걸터앉았다는 ‘두들마을’. 화매천(花梅川)은 그 언덕을 감싸며 흘러간다. 화매를 직역하면 ‘매화나무 꽃’이 된다. 하지만 하천은 매화꽃을 닮지 않았다. 그렇다고 매화나무가 늘어서 있는 것도 아니다. 이름값을 못한다고나 할까? 하지만 그 빈자리를 웃자란 갈대들이 메꿔주고 있었다. 갈대가 꽃을 피우는 늦가을에라도 찾는다면 또 하나의 ‘빼어난 구경거리를 만날 수도 있겠다.

▼ 다리를 건넌 다음 911번 지방도를 따라 잠시 걷자 ‘두들마을’이 나온다. 두들마을을 개척한 이는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이라고 한다. 그는 인조 18년인 1640년 병자호란의 국치를 부끄럽게 여겨 이곳으로 들어왔다고 전해진다. 이후 후손들이 더해져 두들마을은 ‘재령 이씨(載寧李氏)’의 집성촌이 되었다. 석계의 고고한 인품을 이어받아선지 이 마을에서는 많은 학자와 독립운동가가 배출됐다. 조선시대 퇴계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킨 갈암 이현일과 밀암 이재, 근세에 의병대장을 지낸 나산 이현규, 일제강점기 유림 대표로 파리장서사건에 서명한 운서 이돈호, 이명호, 이상호 등의 독립운동가와 항일 시인인 이병각, 이병철 등이 모두 두들마을 출신이라고 한다. 현대의 소설가 이문열도 석계의 13세손이란다.

▼ 트레킹을 시작한지 1시간 10분. 마을에 들어서니 관광안내도가 세워져 있다. ‘아는 것만큼 보인다’고 했다. 낯선 여행지에서 하나라도 놓치고 싶지 않다면 꼼꼼히 살펴보고 길을 나설 일이다.

▼ 마을에 들어서자마자 눈에 띄는 것은 ‘광록정(廣麓亭)’이다. 1690년대 항재(恒齋) 이숭일(李崇逸, 1631-1698)이 부친인 석계 이시명의 유지에 따라 지은 정자로 만년에 한가로이 학문을 연구하며 머물던 집이다. 조선시대에 이 부근에 행인이 묵을 수 있는 광제원(廣濟院)이 있었고, 처음 세울 때는 초당이었기에 ‘광록초당(廣麓草堂)’이란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 광록정을 지나 모퉁이를 돌아서면 ‘세심대(洗心臺)’다. 이 언덕에 서면 건너편의 풍경이 한눈에 쏙 들어오는데, 수백 년은 족히 되었음직한 꿀밤나무와 느티나무가 어우러져 마치 깊은 산중에 들어온 느낌이다. 그런 풍경화의 아랫자락 그러니까 언덕의 아래에는 ‘낙기대(樂飢臺)’가 있고, 언덕 위로 살짝 보이는 빗돌은 ‘안동 장씨’, 그러니까 여중군자로 칭송받은 장계향의 ‘유적비(遺蹟碑)’이다.

▼ ‘세심대(洗心臺)’라는 좌해(左海) 이수영(李秀榮)의 시가 적힌 빗돌(탐방로 아래에는 ‘세심대’라 적힌 바위도 있었다)이 세워진 언덕을 내려오자 ‘백천한옥’이 나온다. ‘백천’이란 택호를 가진 부부가 살았던 모양인데, 두들마을의 고택 족보에는 들어있지 않으나 옛 분위기가 물씬 풍겨나는 한옥이다. 예전에 제법 살았던 집인 모양인데 현재는 민박으로 성업 중이란다.

▼ 백천한옥을 지나자마자 ‘낙기대(樂飢臺)’가 얼굴을 내민다. 인지천(仁志川) 가의 있는 바위벼랑으로 석계 이시명이 이름을 짓고, 그의 아들 항재 이숭일이 쓰고 새겼다. 무릇 선비는 안빈낙도(安貧樂道)를 덕목으로 삼고 궁불실의(窮不失義)를 근본으로 실천하라는 뜻이 담겨있다고 한다. 아래 사진의 왼편 언덕위에는 세심대(洗心臺)가 있다. 세상의 명예와 권세를 지향하고픈 마음을 냇물로 씻어내기 위해 대자연을 감상하며 앉았던 바위란다.

▼ 두들마을의 볼거리들은 너나없이 아래처럼 안내판들을 갖고 있었다. 이곳 낙기대와 건너편의 세심대는 30여 리 전방의 촌락과 산야를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몸과 마음이 상쾌해져 배고픔을 잊고 마음을 씻을 수 있다는 뜻에서 이름 지어졌다고 한다. 안내판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이밖에도 동대(東臺, 확인해 보지는 못했다)와 서대(西臺, 광록정으로 들어가는 초입의 바위벽에 적혀있었다)가 더 있다는 것도 알아두자. 하나같이 석계가 이름을 짓고 그의 아들 항재가 글을 쓰고 새겼다고 한다.

▼ 위와 같은 안내판만 있는 게 아니다. ‘음식디미방’이나 이문열·이병각 같이 약력 등 알릴 내용이 많을 때는 아예 벽보판(壁報板)처럼 커다랗게 만들어 놓았다.

▼ 언덕 위에는 ‘정부인 안동장씨 유적비(貞夫人安東張氏遺蹟碑)’가 세어져 있었다. 입향조(入鄕祖)인 이시명의 부인 ‘안동 장씨’, 즉 장계향은 최초의 한글 조리서인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을 집필한 여중군자로 이름 높다. 석계 부부는 이곳에 터를 잡으면서 도토리를 얻을 수 있는 상수리나무를 많이 심었다고 한다. 그리고 왜란과 호란으로 궁핍해진 이웃들에게 도토리 죽을 끓여 나누었다고 전한다. 때문에 두들마을에는 지금도 상수리나무가 많고 수령 370년이 넘는 고목도 50여 그루나 된단다.

▼ 마을에는 ‘장계향 예절관’이 지어져 있었다. 한복 바르게 입기와 어른에게 절하는 법, 밥상머리 교육 등 장계향이 자녀들을 키우면서 했던 예절교육을 실제로 따라 해보는 곳이라고 한다. 참고로 여중군자로 칭송받는 ‘장계향’은 여성이지만 소학과 사서오경, 십구사략(十九史略) 등의 학문을 두루 익혀 깊이가 있고 현명한 분이었다고 전해진다. 그녀는 성리학을 배움에 그치지 않고 직접 실천하여 구휼에도 앞장섰다고 한다. 자녀교육 또한 우리가 배워야할 그녀의 업적이다. 10명의 자녀들을 모두 훌륭하게 잘 키워냈는데, 특히 셋째 아들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 1627-1704)은 남인의 이론가이자 영남학파의 거두이며 이황(李滉)의 학통을 계승한 대표적인 산림(山林)으로 꼽힌다. 갈암이 이조판서를 지냄에 따라 그의 어머니인 장계향에게도 ‘정부인’의 품계가 내려졌다.

▼ 이문열이 세웠다는 ‘광산문학연구소’도 들어서 있었다. 문학강연과 문학토론회 등이 개최되며 작가와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문열은 2001년 두들마을에 자신의 집이자 사랑방인 '광산문학연구소'를 짓고 '광산문우(匡山文宇)'라 현판을 달았다. 경내에 학사, 강당, 사랑채, 서재, 대청, 식당, 정자 등이 'ㅁ'자로 들어서 있으니 꽤 큰 규모라 하겠다. 하지만 2018년에 '광산문우'의 현판은 내려졌고, 대신 그 자리에는 '녹동고가 광고신택(鹿洞古家 廣皐新宅)'이라는 새 현판이 걸렸다고 한다. 아무튼 이곳 두들마을은 이문열의 소설 ‘선택’의 직접적인 배경 장소이며, ‘그해 겨울’, ‘그대 다시는 고향에 가지 못하리’, ‘금시조’, ‘황제를 위하여’ 등 많은 작품 속 인물들의 삶의 역정이 펼쳐지던 무대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문열의 현재 거처는 경기도 이천의 '부악문원(負岳文院)'이라고 한다.

▼ 광산문학연구소 옆에는 '두들책사랑'이라는 이름의 북카페가 있다. 두들마을 출신 문인들의 작품과 역사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문학작품 전시실과 멀티미디어 자료실, 다양한 책이 비치된 휴게실로 꾸며졌다고 한다. 하지만 아쉽게도 안으로 들어가 볼 수는 없었다. 코로나의 영향으로 문이 닫혀있었기 때문이다. 참고로 두들마을이 배출한 걸출한 문학인은 이문열 외에도 여중군자라 불리는 장계향이 있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초의 한글 음식조리서 '음식디미방'의 저자인데, '음식을 맛을 아는 방법'이라는 뜻의 이 책에는 그녀가 후손을 위해 남긴 146가지의 조리법이 담겨 있다.

▼ 경상북도 민속자료 91호인 ‘석계고택(石溪古宅)’은 조선시대 유학자였던 석계(石溪) 이시명(李時明, 1590-1674)이 1640년(인조 18)에 지은 유서 깊은 집이다. 그는 일찍이 생원에 올랐으나 입신양명의 뜻을 버리고 고향에서 머물며 일생을 학문 연구에만 힘썼다고 한다. 그와 부인인 ‘안동 장씨(장계향)’가 살던 이 집은 사랑채와 안채를 이자형으로 배치한 다음 토담으로 막아 허실감을 메운 뜰집과 같은 느낌을 갖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이밖에도 마을에는 석계 선생이 학생들을 가르치던 ‘석천서당(石川書堂)’과 작가 이문열이 유년시절을 보냈다는 석간고택(石澗古宅), 항일시인 이병각이 태어난 유우당(惟宇堂)을 포함해 전통가옥 30여 채가 들어서 있다.

▼ 항일 시인으로 알려진 이 마을 출신 이병각(李秉珏, 1910-1941) 시인의 ‘가을밤’을 새긴 시비(詩碑)도 눈에 띈다. 이병각은 1924년 서울의 중동학교 입학했으나 1929년 광주학생사건에 연루되어 퇴학당했는가 하면, 일본유학 중에는 검거되어 조선으로 송환되기도 했다. 귀국 후에는 청년운동과 민중운동을 하는 한편, 1935년 이후부터 잡지, 신문에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젊은 나이에 후두결핵으로 죽어 작품 활동의 기간은 몇 년이 되지 않는다.

▼ 관광객이 몰려오는데 포토죤 하나쯤 없겠는가. 마을 한가운데에 널따란 광장을 만들고 여러 조형물들을 배치했다. 벤치를 놓아 쉼터의 기능을 겸하게 했음은 물론이다.

▼ 이젠 건너편으로 가볼 차례이다. 이정표는 그쪽에 ‘음식디미방 체험관’이 있음을 알려준다. 참! 아까 마을입구에서 만났던 안내도에는 주곡고택(做谷古宅)과 여중군자 장계향의 영정을 모신 ‘존안각(尊安閣)’도 그쪽에 있다고 했다.

▼ 정체를 알 수 없는 이층의 누각을 비켜 오르니 ‘음식디미방 체험관’이 나온다. 코로나로 인해 운영을 중단하고 있으나 장계향(張桂香, 1598-1680)이 남긴 조리법을 실제로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이다. ‘음식디미방’은 이 마을에 살던 대학자 석계 이시명의 정부인(貞夫人) ‘안동 장씨(安東 張氏)’가 반가의 음식을 정리해 펴낸 최초의 한글 ‘조리서’라고 한다. 자손들을 위해 일흔이 넘은 나이에 집필했다는 이 책은 조선 중후기 양반가의 식생활과 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전통음식 연구의 지침서이자 관계전문가들의 교본으로 알려진다. 또한 정확하고 다양한 어법과 철자로 되어있어 사전적으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단다. 참고로 그녀는 이문열의 소설 ‘선택’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 마을에는 ‘두들’이라는 식당 겸 휴게소도 들어서 있었다. 하지만 현대식 건물이라서 어쩐지 어색하다. 그 옆에 있는 보건소지소도 역시 깔끔한 현대식 건물이다. 전통이 살아 숨 쉬는 마을 분위기에 맞게 한옥으로 지었더라면 좋았을 것 같다는 바람은 나 혼자만의 생각일까?

▼ 35분쯤 마을을 둘러보다가 다시 길을 나선다. ‘석보 119지역대’를 지나면 탐방로는 ‘옥계마을(玉溪里)’로 들어선다. ‘송하천변(松河川邊)의 들녘이 질펀하게 펼쳐진 곳에 들어앉은 마을이다. 이 마을의 이름은 원래 ‘북계(北溪)’였다고 한다. 석보면의 북쪽 개울가에 자리 잡고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다가 1980년대에 들어 ‘옥계’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이는 마을앞 개울인 ‘송하천’의 물이 옥처럼 맑다는 것을 나타내고 싶었던 게 이유가 아닐까 싶다.

▼ 옥계교(玉溪橋)를 건넌 탐방로는 ‘920번 지방도’를 따른다. 비록 잠깐이지만 이 구간에서도 볼거리는 있다. 이곳 영양의 특산물인 ‘고추’를 형상화한 버스정류장이 눈길을 끌기에 부족함이 없기 때문이다.

▼ 잠시 후 ‘옥계마을’에 이른 탐방로는 왼편으로 방향을 튼다. 그리고는 작은 개울을 거슬러 올라간다. 참고로 옛날 이곳 옥계마을에는 역(驛)이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진성현(眞城縣)에서 영양현과 영해부로 통하는 길목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인마(人馬)나 마차(馬車)가 머무르는 여관이 있었을 정도로 마을의 규모 컸었다는 얘기가 된다. 그러나 세월이 흐른 지금은 작은 산골마을에 불과하고, 역사의 흔적은 역두들·역마·역마을(驛村)이란 지명으로만 남아있을 따름이다.

▼ 탐방로를 따라 걷다가 가슴 아픈 풍경을 만났다. 농군들의 피와 땀이 배어 있을 배추가 손도 대지 않은 채로 버려져 있는 것이다. 얼었다 풀리기를 반복하며 주저앉아가는 저 배추를 바라보는 농군은 또 얼마나 많은 피눈물을 흘렸을까 싶다.

▼ 길가에 오미자로 여겨지는 경작지가 있어 카메라에 담아봤다. 오늘 내가 챙겨온 물도 오미자 엑기스를 희석시켜 왔기 때문이다. 단맛·짠맛·쓴맛·신맛·매운맛의 다섯 가지의 맛을 고루 갖추고 있지만 신맛이 가장 강한 탓에 이를 마시면 갈증이 제거되니 이보다 더 좋은 음료수가 어디 있겠는가. 특히 땀을 많이 흘리고 난 뒤에 복용하면 더위와 갈증을 한꺼번에 해소시켜 준다니 트레킹 마니아에게 최적화되었다 할 수 있겠다.

▼ 이번에는 포도밭이다. 당도를 높이려는 듯 과목을 비닐하우스로 씌워놓은 것이 전문가 수준의 농사꾼 작품이다. 거기다 끝이 안보일 정도로 넓기까지 하니 와이너리(winery)만 더한다면 외국에서나 볼 법한 풍경이 될 수도 있겠다. 그래야 나 같은 애주가들이 한번쯤 더 찾을 수 있지 않겠는가.

▼ 포도밭을 지나자마자 ‘옥계지’이다. ‘너브랑골’의 상류에 제방을 쌓아 만든 저수지인데 특별한 볼거리는 없다. 그저 준비해간 간식을 먹기에 딱 좋은 둑을 갖고 있었다. 참! 기억해두어야 할 것은 하나 있다. 저수지 곁에 세워놓은 이정표(선바위관광지 8.8㎞/ 고현지 9.5㎞)가 완주 인증사진 촬영지점이라는 것을 말이다. 두들마을에서 이곳까지는 40분이 걸렸다.

▼ 탐방로는 저수지를 지나서도 계속해서 개울가를 따른다. 임도가 잘 나있기 때문에 걷는 데는 조금도 불편함이 없다.

▼ 저수지에서 300m쯤 더 가면 만나게 되는 커다란 느티나무는 길 찾기에 주의가 요구되는 지점이다. 오솔길로 변한 탐방로가 이곳에서 임도와 헤어지기 때문이다. 코너에 이정표(선바위관광지 8.5㎞/ 고현지 9.8㎞)가 세워져 있으나 갑자기 방향을 틀기 때문에 무심코 지나쳐버릴 우려가 있어 거론해 보았다.

▼ 오솔길로 변한 탐방로는 이제 숲이 울창한 계곡의 안으로 파고든다. 쓰러진 거목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있는 원시의 숲이다. 이 구간은 또 서너 번에 걸쳐 개울을 가로지르기도 한다. 장마철에는 통행이 불가능할 수도 있겠다는 얘기이다.

▼ 그렇게 15분 남짓 걸었을까 산길이 갑자기 위로 향한다. 그것도 통나무계단을 놓아야만 했을 정도로 가파른 오르막길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마지막 어림에서는 ‘갈 지(之)’ 자를 쓰고 나서야 고도를 높일 수 있었을 정도이다.

▼ 숨이 턱이 차오를 즈음에야 임도에 올라섰다. 석보면과 입암면 사이에 있는 산자락들을 헤집으며 내놓은 15.5㎞ 길이의 임도이다. 이곳에서는 왼편으로 방향을 틀어야 한다. 입암면의 신구리와 노달리, 양항리로 연결되는 임도이다. 반면에 오른편은 옥계2리로 내려가는 길이니 참조한다.

▼ 양항리 방향으로 들어섰다싶으면 곧이어 ‘임도삼거리’가 나온다. 병원이 흔하지 않던 시절, 옥계마을 등 입암면 사람들이 여름에 땀띠가 나거나 몸이 아플 때 체질개선에 도움을 주는 양항약수를 먹기 위해 넘나들었다는 고갯마루이다. 이정표(선바위관광지 7.1㎞/ 고현지 11.2㎞)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이 고개를 넘으면 약수로 유명한 양항마을이 나온다.

▼ 탐방로를 겸하는 신구리 방향의 임도는 고갯마루를 넘지 않고 왼편으로 향한다. 길이가 5㎞쯤 되는 이 임도는 까마득한 벼랑을 옆구리에 끼고 나있다. 8~9부쯤 되는 산자락을 헤집으며 내다보니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그건 그렇고 이 구간의 최대 단점은 너무 지루하다는 것이다. 거기다 앉아서 쉴만한 곳이 눈에 띄지 않는다. 트레킹 마니아들이 가장 싫어하는 구간이라 하겠다.

▼ 임도는 삼거리를 하나 더 지난다. 노달리로 내려가는 임도인데 걱정할 필요는 없다. 비록 방향표시만 되어 있는 이정표이지만 거르지 않고 세워놓았기 때문이다. 그런 임도를 따라 1시간쯤 더 걷자 입암면의 너른 들녘이 눈앞에 펼쳐진다. 일월산 동쪽에서 흘러온 반변천이 ‘S’자 형태로 굽이치는 경치 빼어난 곳이다.

▼ 산비탈에 놓아둔 벌통이 눈에 띈다. 하지만 이민을 떠났는지 집을 지키고 있어야 할 벌들은 보이지 않았다. 어느 생방송에선가 빈 벌통을 이용해 떠돌이 벌떼를 유인한다더니 이를 두고 한 말이 아니었나 싶다.

▼ 임도를 내려서면 입암면의 소재지인 ‘신구리(新邱里)’이다. 중종반정 이후 김해김씨 김세보(金世輔)가 마을을 열었고 이후 그의 후손들이 대를 이어 살았다. 김세보의 자는 고우(故佑), 호는 부용재로 세조 14년인 1468년에 태어났다. 성종 15년인 1484년에 문과에 급제해 여러 청요직을 거쳐 벼슬이 한성판윤(漢城判尹)에 이르렀다. 재직 중 연산군에게 여러 번 간언하였던 그는 결국 벼슬을 버리고 영양으로 들어왔다. 그리고는 일월산에 숨어 살며 농사짓고 소치고 나무를 하며 살았다고 한다. 이웃 사람들이 그가 높은 벼슬을 한 선비임을 몰랐을 만큼 철저한 은거였다. 때문에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로 많은 선비들이 죽임을 당하고 유배되는 동안에도 그는 화를 면했단다.

▼ 마을에 내려서자 150년이나 묵었다는 회화나무가 반긴다. 아니 회화나무에 매달려있는 외씨버선 모양의 이정표가 더 눈길을 끈다. 뒤에 보이는 건물은 ‘기암정(沂巖亭)’이다. 조선 영조(순조 때라는 설도 있다) 때 사람인 기암(沂巖) 김종환(金鍾煥)이 지은 정자이다. 건립 당시에는 초가집 형태였으나 고종 26년(1889년)에 후손들이 뜻을 모아 중건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고 한다. 참고로 김종환은 일찍이 과거공부를 그만두고 어진 스승과 벗을 찾아 세상을 주유했다고 전한다. 그리고 자신의 재능을 감추고 세상으로부터 떨어져 한가롭게 살았고 직접 농사를 지으며 후배들에게는 배움을 권장했단다.

▼ 날머리는 입암면사무소(영양군 입암면 신구리 481-3)

지역주민들의 숨결을 따라 걷다보면 어느덧 입암면사무소. 오늘의 여정이 마무리 되는 곳이다. 너무 긴 3길(18.3㎞)과 반면에 너무 짧은 4길(11.5㎞)을 알맞게 조정하기 위해 이곳에서 트레킹을 마치기로 했기 때문이다. 오늘 못다 한 거리는 다음에 추가하겠다는 얘기이다. 오늘 트레킹은 총 4시간 20분이 걸렸다. 핸드폰의 앱에 찍힌 거리는 18.02㎞, 적당한 속도로 걸었다고 보면 되겠다.

▼ 면사무소로 가다가 멋진 가로등은 만났다. 이곳 영양을 한마디로 압축시킬 수 있는 ‘반딧불이’와 ‘고추’를 모티브로 삼은 발상이 참 신선해 보인다. 그런 그렇고 이곳 신구리에서는 본인의 여정을 생각해 선택구간인 ‘산해리 오층 모전석탑’을 다녀올 수 있다. 국보 187호로 지정된 탑으로 영양이 가진 최고의 문화재 가운데 하나이지만 다녀오는데 왕복 1시간이 소요된다는 것도 기억해 두자.